▲신발노점여수-덕양 간 나들목 고가다리아래 신발 노점상
조찬현
"인터넷몰 때문에 장사가 안돼요. 나이든 사람들이나 찾을까, 노점에 새로운 고객 형성이 안돼요. 인터넷이나 홈쇼핑에서 다 구입해서 배달해 불고…."
여수-덕양 간 나들목 고가다리 아래서 신발 노점상을 하는 강아무개(50)씨. 그는 10년 전부터 전국을 돌아다니며 목 좋은 곳을 골라 길거리에서 신발을 판매한다. 그의 주 무대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부 지역이다. 전남 광양에 사는 그는 광주의 도매점에서 신발을 받아와 여수, 순천, 목포, 진주 등지에서 활동한다.
신발장사 이문 많이 남는다는 말, 이제는 먼 옛날이야기사회 첫발을 내딛으면서 맺은 신발과의 인연이 그의 평생 업이 됐다. 부산의 신발공장에서 23년이나 근무했다. 도중에 인도네시아에도 2년을 다녀왔다. 이제는 지나가는 사람들의 신발을 보고도 눈썰미로 신발의 재질이나 품질을 알아볼 정도다.
한때는 돈푼깨나 만졌던 신발장사. 하지만, 신발장사 이문이 많이 남는다는 이야기도 이제는 먼 옛날이야기가 됐다. 요즘은 하루 일당 벌기도 힘이 든다.
“뻔하잖아요. 가격 다 공개해놓고 파는데, 신발은 재고관리가 가장 힘들어요. 재고 때문에 자금 다 처박아버리고 문 닫아요. 비닐로 된 신발은 햇볕에 노출되면 금방 못쓰게 되부러요. 가죽은 그나마 좀 괜찮은데, 진열해 놓은 것은 팔아 묵을 수도 없어요.”
진열해 놓은 신발은 햇볕에 뒤틀리고 변색돼 소비자에게 팔 수가 없다. 이런 중고신발은 가끔씩 페인트 일하는 사람들이 와서 떨이로 헐값에 사간다. 신발에 페인트가 묻으면 못 쓰게 되니까 그들이 작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싹쓸이해간다.
멀리 장사를 떠났다 폭설에 갇히거나 갑작스러운 소나기를 맞아 흠뻑 젖을 때가 가장 힘들다. 사실 손님들이 값을 깎아달라고 아우성치고 시비를 걸 때는 정말 난감하다고 한다. 손님으로 왔다가 시비 거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고. 그럴 때는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며 지은 죄도 없이 머리를 조아리고 사과를 한다.
“길에서 장사하면 되느냐? 세금내고 하느냐? 세금도 안 내면서 싸게 팔지 너무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