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PD들, '신문·방송 겸영' 반대 81.7%

[PD저널 창간20주년 여론조사] 공영방송 민영화 반대 73.9%

등록 2008.01.30 11:59수정 2008.01.30 11:59
0
원고료로 응원

<PD저널>은 창간 20주년을 맞아 내달 25일 출범하는 이명박 차기 정부의 미디어 정책 전반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3일 한국PD연합회 회원 214명을 상대로 진행했다.(신뢰수준 95%, 표본오차 ±6.4%p) <PD저널 편집자주>

 

“방송통신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두는 것은 부적절하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한나라당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를 대통령 직속으로 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방통위 설치법을 지난 21일 국회에 제출한 것에 대해 한국PD연합회 회원의 85%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한나라당이 감사원의 예를 들며 “방통위의 독립성은 업무 수행상 독립성을 말하는 것이지, 소속의 독립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정병국 홍보기획본부장, 1월25일 내일신문)라며 ‘대통령 소속’이란 부분에 방점을 찍지 않으려는 것과는 달리, 현직PD들은 방통위의 소속에서도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방송의 공공성·공익성이 훼손될 것이라 보고 있는 것이다.

 

a

대통령 소속 방통위 안에 대해 응답자의 80% 중 50%가 '매우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 PD저널

대통령 소속 방통위 안에 대해 응답자의 80% 중 50%가 '매우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 PD저널

이는 대통령 소속 방통위 안에 대해 ‘부적절’ 의견을 피력한 응답자의 80% 중 50%가 ‘매우 부적절하다’며 강한 반대의 대답을 전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30%나 나온 반면, 적절하다는 의견은 13.1%(매우 적절 1.9%, 적절 11.2%)에 그쳤다.

 

■ 방통위원 선임은 현행 방송위원 선임과 마찬가지로= 방통위원 선임 방식과 관련해서도 PD들은 대통령이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2명을 지명하고 국회의장이 3명을 추천하도록 한 인수위 법안에 이의를 제기했다. 응답자의 50.5%가 ‘방송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현재 방송위원회처럼 9명의 위원을 선임하되 대통령과 국회의장, 교섭단체 몫으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한 것이다.

 

‘인수위 법안 내용처럼 선임하되 인사 검증 장치를 마련’과 ‘대통령의 추천 몫을 배제하고 모든 위원을 국회가 추천’이란 응답은 각각 22.4%, 20.6%였다. ‘인수위 법안 내용처럼 대통령 2명, 국회의장 3명 추천’ 의견은 3.3%에 불과했다.

 

지상파 방송 3사별로 나눠보면 KBS(63.3%)와 MBC(64.3%) PD들은 전체 응답과 마찬가지로 현재 방송위처럼 하자는 의견을 가장 많이 전했다. 그러나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온 의견은 전체와 달랐다. ‘대통령의 추천 몫을 배제하고 모든 위원을 국회가 추천’하는 안에 응답자의 24%(KBS), 16.7%(MBC)가 손을 들어준 것이다. 반면, SBS PD들은 위원 선임 방식을 현재 방송위처럼 하자는 안과, 인수위 법안처럼 선임하되 인사검증 장치를 마련하자는 안에 각각 36.3%의 응답을 전해 차이를 보였다.

 

■ 신문·방송 겸영 MBC가 가장 반대= 인수위는 이달 초 현행 신문법이 금지하고 있는 신문·방송 교차 소유와 관련해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PD연합회 회원의 81.7%는 반대 의견을 전했다. ‘적극 반대’ 의견은 50.9%나 됐다. 찬성 의견은 반대 의견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16.8%로 ‘찬성’ 14%, ‘적극 찬성’ 2.8%였다.

 

a

신문방송 겸영에 대해서는 PD연합회 회원의 81.7%가 반대의 뜻을 나타냈다. ⓒ PD저널

신문방송 겸영에 대해서는 PD연합회 회원의 81.7%가 반대의 뜻을 나타냈다. ⓒ PD저널

지상파 방송 3사의 PD 회원들 모두 반대 의견이 높았지만 특히 우세한 곳은 MBC였다. 응답자의 92.8%가 반대에 손을 들었고, 찬성은 4.8%에 그쳤다. KBS와 SBS에선 각각 78.7%, 68.8%가 신문·방송 겸영에 반대 의견을 밝혔다.

 

장르별로 보면 시사·교양 PD의 반대가 86.4%로 가장 높았다. 편성·심의(85.7%), 연예·오락(84.6%), 행정·기타(77.8%), 스포츠(76%), 드라마(50%) PD 등도 모두 응답자의 과반 이상이 신문·방송 겸영을 반대했다.

 

근무년수가 짧을수록 신문·방송 겸영 허용에 대한 반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이(93.4%), 6~10년(86.1%), 11~15년(83%), 16년 이상(76%) 순으로 반대 의견을 전한 것이다. 

 

■ 공영방송 민영화 MBC·KBS 반대 비율 전체 응답 상회= 한나라당은 대선기간 동안 공영방송의 민영화를 수시로 언급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측근으로부턴 MBC의 BBK 보도에 대한 불만과 함께 “집권 초기에 민영화시켜 버리겠다”는 협박이 공공연히 나왔을 정도다. MBC뿐 아니라 KBS 2TV에 대한 민영화 소문도 정가 주변에 무성하다.

 

이와 관련해 PD연합회 회원의 73.9%(적극 반대 40.7%, 반대 33.2%)가 반대 입장을 밝혔다. 찬성은 22.4%(적극 찬성 7.9%, 찬성 14.5%)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3.7%였다. 특히 민영화의 직접 대상으로 거론되는 MBC와 KBS가 각각 전체 응답 비율을 상회하는 96.2%, 82.7%라는 높은 반대 입장을 나타낸 부분이 눈에 띈다.

 

근무년수 별로는 5년 이하 PD의 반대가 83.3%로 가장 높았으며 11~15년(75.5%), 16년 이상(76.6%), 6~10년(69.8%) 순이었다.

 

■ 인수위의 언론인 성향 조사는 문제= PD연합회 회원들은 이달 초 보도된 인수위의 언론사 간부 등에 대한 성향 조사에 강한 반발을 드러냈다. 응답자의 95.8%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한 것이다. 부적절하다는 의견 가운데서도 ‘매우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75.2%로 상당히 높았다. 적절하다는 의견은 1.9%(매우 적절 0.5%, 적절 1.4%)밖에 없었으며, ‘잘 모름’은 2.3%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 PD저널 >(http://www.pdjournal.com)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2008.01.30 11:59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 PD저널 >(http://www.pdjournal.com)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미디어정책 #방송통신위원회 #신문방송겸영 #MBC민영화 #PD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국PD연합회에서 발행하는 PD저널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윤석열 대통령, 또 틀렸다... 제발 공부 좀
  2. 2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3. 3 "물 닿으면 피부 발진, 고름... 세종보 선착장 문 닫았다"
  4. 4 채상병 재투표도 부결...해병예비역 "여당 너네가 보수냐"
  5. 5 '질문금지'도 아니었는데, 대통령과 김치찌개만 먹은 기자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