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이라고?

광우병 발생?... 지극히 비과학적인 표현

등록 2008.05.09 16:50수정 2008.05.09 17:20
0
원고료로 응원

요사이 도대체 어느 나라 장관인지 구분이 힘든 장관님께서 청문회에 나와서 줄기차게 외친 말이 있다. "미국에서는 최근 광우병이 발생' 하지 않았다." 더군다나 '과학적'이라는 수식어를 거의 매번 동반한다. 그렇다면 과연 미국에서는 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았는가? 정답은 '모른다'이다.  신만이 알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과학적인 표현으로 바꾼다면 "미국에서는 최근 광우병이 '발견' 되지 않았다." 정도가 될 것이다.

 

예를들어 지난 5월 5일 서울에서도 AI가 발견되었다고 하였는데 보도 혹은 보고가 없었던 5월 3일에도 그 꿩은 AI에 걸렸었다는 말이다. 단지 확인되지 않았을 뿐이다.

 

a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7일 국회에서 열린 미국산 쇠고기 관련 청문회에서 도표를 보여주며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남소연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7일 국회에서 열린 미국산 쇠고기 관련 청문회에서 도표를 보여주며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남소연

 

위 사진에서 장관은 'OIE'의 자료에 의한 것이라면서 '연도별 발생현황'이라고 도표화하고 있다. 출처에 해당하는 'OIE'에는 어떻게 표현되어 있을까?

 

a

OIE 홈페이지에 있는 표 'Number of reported cases(보고된 사례의 수)'라고 표현하고 있다. ⓒ 김종식

▲ OIE 홈페이지에 있는 표 'Number of reported cases(보고된 사례의 수)'라고 표현하고 있다. ⓒ 김종식

 

'Number of reported cases' 즉, '보고된 건수' 정도에 해당한다. 모든 소(살아 있는 소를 포함하여)의 뇌를 열어보지 않고서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는데 무슨 근거로 '발생된 건수'라고 이야기 한다는 말인가? 더욱이 0.1%의 검역을 가지고서…. 

 

미국을 포함하여 어느 나라의 과학자도 "미국에서는 최근 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비과학적인 표현을 쓰지 않을 것이다. "발견되지 않았으며, 발생하였을 확률도 매우 낮다"라는 정도의 표현을 하며 그 근거가 될 수 있는 검증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상대를 설득하려고 할 것이다.

 

별것 아닐 수도 있는 이 표현을 가지고 딴죽을 거는 이유는 '발생'과 '발견'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일반 국민들이 받아드리는 강도의 차이가 클 것이라는 생각 이외에도 협상에서 우리측의 의견과 전략이 있었음에도 '과학적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킬 수 없었다'는 강변 때문이다. 

 

단어 하나조차 상황에 맞지 않게 사용하는 사람들이 'OIE'라는 과학적 권위로 무장한 사람들과 동등하게 협상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 아니었나 싶은 회의가 들기 때문이다.

2008.05.09 16:50 ⓒ 2008 OhmyNews
#쇠고기 #협상 #과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3. 3 "과제 개떡같이 내지 마라" "빵점"... 모욕당한 교사들
  4. 4 이재명 '검찰 애완견' 논란에 소환된 손석희 앵커브리핑
  5. 5 한국 언론의 타락 보여주는 세 가지 사건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