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군부, 국민들이 죽어도 정권유지에만 급급"

'버마태풍피해구호를 위한 국제공동행동', 주한버마대사관 앞에서 집회

등록 2008.05.21 18:32수정 2008.05.23 08:15
0
원고료로 응원
play

'버마행동'의 뚜라 대표 버마상황에 대한 경과보고하는 '버마행동'의 뚜라 대표 ⓒ 박호율


5월 20일 12시 주한버마대사관 앞에서 '버마태풍피해구호를 위한 국제공동행동' 항의시위가 있었다. '버마행동'의 뚜라 대표의 버마상황에 대한 상세한 경과보고로 항의시위는 시작됐다.

"사이클론 '나르기스'로 인한 사망자 수가 20만명이 넘는다고 국제단체에서는 전하고 있고 1,400만 명의 사람들이 전체피해를 입었다"고 뚜라대표는 말했다. 실제 버마 국영텔레비전은 사이클론 나르기스의 사망자 수가 13만 3천명이라고 19일 보도했다. 이는 20일 중국 당국이 집계한 대진진으로 인한 사망, 실종자 수 7만 1천명의 두 배나 된다.

뚜라 대표는 "버마 정부는 피해지역의 구호활동보다 새 헌법의 국민투표 통과를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열배가 넘는 200만명의 사망자가 생겼어도 버마정부에게는 정권유지가 더 중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국제사회의 구호도 선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고, 이미 받은 구호물품도 제대로 보급하지 않고 있다"며 사례들을 설명했다.

play

인권실천시민연대 오종익 사무국장 북한의 구호물품을 받아들였던 전두환 군사정권을 예로 들며 버마 정부를 성토하는 인권실천시민연대 오종익 사무국장 ⓒ 박호율


버마에서는 '창고에 그대로 저장하기', '시장으로 빼돌리기', '쌀보다 쌀벌레가 더 많은 구호쌀 주기', '장교들이 구호품을 줬다가 사진찍고 뺏기' 등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오창익 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이러한 버마 독재자들과 중국정부의 원자바오 총리의 적극적인 대응을 비교하며 강하게 성토했다. 그리고 1985년 한강 마포에 홍수가 나서 큰 피해를 입은 우리나라도 예로 들었다.

구호품을 대한민국의 적이었던 북한정부가 보냈는데 독재자였던 전두환씨는 물품을 받고 주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는 것. 재난예방활동을 하지 않고 구호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도 없으며, 국제사회의 도움도 받아들이지 않는 버마 독재군부를 꼬집은 것이다.

항의시위에는 '어제의 광주, 오늘의 버마'라는 피켓이 있었다. 이 피켓과 프리버마가 구호가 같이 떠오른다. “프리 프리 버마 버마” “버마 버마 프리 프리” “버마 민주화는 아시아의 평화이다”


a

"프리버마" 구호를 외치는 '버마태풍피해구호를 위한 국제공동행동' 회원들 ⓒ 박호율

#버마태풍피해구호를 위한 국제공동행동' #프리버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수유와 철원 두 거점을 왔다갔다 하면서 글과 영상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5. 5 전화, 지시, 위증, 그리고 진급... 해병 죽음에 엘리트 장군이 한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