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로 붐비는 병원 수납창구의 모습 수납을 위해 기다리고있는 사람들
오마이뉴스
누구나 한번쯤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그 중 병원비를 내고 가벼운 마음으로 나오는 사람도 있을 테지만 영수증을 꼼꼼이 살펴본 사람 중엔 목록에 특진비라는 가격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의아하게 돌아선 사람도 있을 것이다.
특진비는 말 그대로 특별한 진료비이다. 병원에서 경력과 능력이 있는 의사와 아닌 의사들에게 다른 비용을 내고 진료를 받게 하는 것이다. 즉 더 뛰어난 의사에게는 특별히 더 많은 비용을 내고 진료를 받게 하여 환자 선택권을 보장해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특진의사 선택기준이 모호하고 선택진료제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 폐해가 여러가지다.
병원들이 주장하는 바는 "선택진료제는 국가가 개입해서 병원과 환자들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는 것이므로 타당한 제도"라는 것이다. "병원 안에서는 의사들끼리 경쟁을 끌어내 더 질 높은 의사들을 양성할 수 있고, 환자들에게는 특진의사와 비특진의사를 두어 의사 선택권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라는 설명이다.
특진 의사가 되려면 경력이 10~15년 이상이면 가능하다고 보건복지부령 제174호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에 나와 있다. 하지만 의사가 외국에 나가 있던 기간까지 경력에 포함될 수 있으며, 자신이 현재 소속된 병원의 경력 뿐만 아니라 중·소병원에서 일한 것까지 모두 경력에 들어갈 수 있다.
병원들은 제각각 만든 기준과 의사들의 경력사항을 환자들에게 일일히 알려주고 있을까?
누구를 위한 선택진료제인가?며칠 전 몸이 좋지 않아 찾은 대학병원에서 간호사로부터 '선택진료신청서'라는 것을 받게 되었다. 선택진료 신청서에는 관련 과 의사들의 이름만 나와있을 뿐이지 그 의사에 관련된 정보는 그 어느 곳에도 나와있지 않았다. 작성하라고 하길래 생각없이 적은 뒤 어떤 의사에 체크를 해야 하는지 물어보았다.
"어느분이 특진의사시죠? 어디에 체크해야 될 지 모르겠네요…."
그러자 수납에서 근무하시는 직원분이 답변하셨다.
"요일이랑 시간대가 맞아 진료가 가능하신 의사선생님께 체크하세요."
그 말을 듣고는 내가 원하는 의사를 선택하는 것인지 병원의 스케쥴에 맞춰서 병원의 편의에 맞게 내가 선택을 받는 것인지 의아했다.
수납창구 앞에는 많은 사람들이 순서번호가 적힌 종이를 들고 앉아 있었고, 창구에서 선택진료신청서를 쓰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 중 선택진료의사들의 관련정보를 듣고 있는 사람들은 단 한명도 없었다.
의사들의 능력에 따라 차등을 두었다고 하지만 정작 환자들에게 의사들에 대한 정보제공도 없고, 선택진료제에 대한 내용도 제대로 설명해 주지 않는 상황에서 이를 환자를 위한 선택진료제라 할 수 있을까?
병원의 수입보전수단 '선택진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