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권의 언론탄압 그야말로 점입가경"

' 이춘근 PD 체포와 언론탄압' 규탄 기자회견

등록 2009.03.26 19:26수정 2009.03.26 19:45
0
원고료로 응원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생민주국민회가 26일 오후 1시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 이춘근PD 체포와 언론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김예나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생민주국민회가 26일 오후 1시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 이춘근PD 체포와 언론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김예나

 

노종면 YTN 노조위원장의 구속에 이어 25일 밤 <PD수첩> 이춘근 PD가 긴급체포 되자 시민단체들이 이명박 정권의 야만적인 언론탄압을 규탄하고 나섰다. 26일 오후 1시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생민주국민회의 주최로 '<PD수첩> 이춘근PD 체포와 언론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지금 피디수첩의 제작진들을 처벌하겠다고 하는 게 박정희 유신 당시 유언비어 날조 유포 죄로 체포하는 것과 뭐가 다른가"라면서 "검찰이 스스로의 직분을 내팽개친 채 정치권력의 하수인이 되어 기본권을 압살하는데 앞장서는 것이 염려스럽다, 국민의 기본권을 검찰이 앞장서 탄압하는데 대한 엄중한 국민적 심판을 받을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뒤이어 김성균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언소주) 대표는 발언에서 "검찰의 행동은 결국 국민들을 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계속해서 이런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면 검찰과 이명박 정부는 파멸을 맞이할 것이다. 지금이라도 이성적으로 행동하라"며 조속한 문제 해결을 요구했다.

 

권오헌 민가협 양심수후원회 회장이 낭독한 기자회견문에서 각계 시민단체들은 "이명박 정권의 언론탄압이 그야말로 점입가경이"라며 "언론인을 잡아가두는 일은 국제적인 지탄을 초래하는 심각한 민주주의 유린, 언론자유 유린"이라고 밝히고 "이명박 정권이 이처럼 야만적인 언론탄압에 나서는 이유는 뻔하다. 언론통제 없이는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 아니냐"고 주장했다.

 

또한, "<PD수첩> 수사를 맡고 있던 임수빈 부장검사는 'PD수첩의 보도내용이 정부비판에 맞춰져 개인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기소되기는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히다가 결국 사의를 하고 말았음에도 이명박 정권과 검찰은 억지 수사를 밀어붙이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사법부가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는 길은 오직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하는 것이다"라면서 "사법부가 이명박 정권의 언론탄압에 단호하게 제동을 걸어 더 이상의 민주주의 후퇴를 막아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기자회견 전문] <PD수첩> 탄압 즉각 중단하라

이명박 정권의 언론탄압이 그야말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24일 YTN 노종면 위원장 구속에 이어 25일 밤 MBC <PD수첩> 이춘근 PD가 검찰에 긴급체포 됐다. 뿐만 아니라 검찰은 조능희 전 CP와 김보슬 PD, 작가 등에 대해서도 강제 신병확보에 나섰으며, <PD수첩> 방송 원본을 조사해야 한다고 밝혀 MBC에 대한 압수수색 가능성을 드러냈다.


언론인을 체포하고 구금하는 것은 '언론탄압 중의 언론탄압'이다. 이미 YTN 기자들의 체포 소식에 국제사면위원회가 "언론자유 위배"라는 성명을 발표했고, 국경없는기자회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이처럼 언론인을 잡아가두는 일은 국제적인 지탄을 초래하는 심각한 민주주의 유린, 언론자유 유린이다.

 

게다가 <PD수첩>의 경우는 '명예훼손' 운운하며 수사에 나선 자체가 민주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언론탄압이다. 수많은 언론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지적했듯 공영방송의 시사프로그램이 정부의 정책을 감시하고 비판하는 것은 당연한 책무다. 오죽했으면 <PD수첩>의 수사를 맡았던 검사까지 기소를 포기했겠는가? 지난 12월 당시 <PD수첩> 수사를 맡고 있던 임수빈 부장검사는 "PD수첩의 보도내용이 정부 비판에 맞춰져 개인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기소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다가 결국 사의를 밝히고 말았다. 그럼에도 이명박 정권과 검찰은 억지 수사를 밀어붙이고 있다.  

 

이명박 정권이 이처럼 야만적인 언론탄압에 나서는 이유는 뻔하다. 언론통제 없이는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제를 살리겠다'며 집권한 이 정권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극도의 무능을 드러냈으며 부자의 세금은 깎아주고, 복지는 축소하며, 재벌의 규제를 풀어주는 '역주행 정책'으로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있다. 어디 그 뿐인가. 시대착오적인 강경일변도의 대북정책으로 남북관계를 파국으로 몰았고, 사교육을 부추기고 공교육을 파괴하는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으며, 공권력을 남용해 국민의 생명을 빼앗고도 책임을 지지 않았다. 이 정권은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언론을 탄압하지 않으면 버틸 수 없는 상태인 것이다.

 

지난해 수백만의 국민들이 촛불을 들고 광우병 쇠고기의 수입을 반대했을 때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 앞에 나서 사과했다. 그러나 이후 이명박 정권은 연일 국민의 뒤통수를 쳤다. 촛불집회에 참여한 수많은 누리꾼들을 탄압하고, 인터넷을 옥죄고, 정부의 경제정책을 비판한 누리꾼을 잡아가두었다. <PD수첩>에 대해서는 '왜곡보도로 여론을 오도하고 촛불시위를 조장했다'며 삼성특검에 맞먹는 대규모 수사팀을 꾸려 수사에 나섰다. 앞에서는 고개를 숙이고 뒤에서는 비판세력을 가혹하게 탄압하는 것, 이것이 이명박 정권이 입만 열면 외치는 '법치'란 말인가?

 

검찰에 경고한다. 이명박 정권 출범 후 검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더 이상 떨어질 수 없을만큼 떨어졌다. 검찰은 정권의 반대세력, 비판세력을 탄압하는 데 앞장섬으로써 스스로의 권위를 갉아먹었다. 이명박 정권 아래 검찰의 민주주의 유린 행태는 반드시 국민들로부터 심판 받을 날이 올 것이다.


사법부에도 촉구한다. 더 이상 이명박 정권의 눈치를 보며 민주주의 유린에 들러리 서서는 안된다. 사법부는 이미 신영철 대법관의 재판개입 파문을 통해 국민에게 큰 상처와 충격을 주었다. 사법부가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는 길은 오직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하는 것이다. 사법부가 이명박 정권의 언론탄압에 단호하게 제동을 걸어 더 이상의 민주주의 후퇴를 막아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법부도 국민의 버림을 받을 것이다.

 

2009년 3월 26일
민생민주국민회의(준)/광우병국민대책회의

첨부파일
DSCN6553.JPG
2009.03.26 19:26 ⓒ 2009 OhmyNews
첨부파일 DSCN6553.JPG
#민생민주국민회의 #PD수첩 #이춘근PD #언론탄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2. 2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3. 3 뱀딸기를 먹었던 아이
  4. 4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5. 5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