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예의가 무엇인지를 보여준 <가문의 영광>

[아줌마 드라마 뒤집기 52] 건강한 드라마로 빛을 발하며 재미와 감동 두 배

등록 2009.04.21 09:30수정 2009.04.21 09:30
0
원고료로 응원
a

사람에 대한 예의를 진지하게 물어보는 <가문의 영광> ⓒ SBS


너무 뻔한 이야기. 그래서 재미없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이젠 그 뻔한 이야기가 소중한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아마도 시청률 하나에 급급해 방송사들이 막장드라마 다량으로 공급한 결과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가운데 빛나도록 아름다운 드라마 한 편이 있다. 바로 <가문의 영광>이 그러하다. <가문의 영광>은 막장이란 소재도 없이 충분히 시청률을 올릴 수 있음 보여준 드라마로 우리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전해주었다.

사실 <가문의 영광>은 어쩌면 식상하다면 식상한 가족의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웠다. 모든 주말드라마가 그렇듯 홈드라마를 표방했기에 신선하지는 않았다. 다만, 종가집이라는 차별화를 내세웠지만 가부장적 가족제도로 인식되는 종가집의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식상함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었다.

핏줄이 아닌 가족에겐 필요한 것은 사랑

이러한 점에서 분명 <가문의 영광>의 출발은 조심스러웠다. 하지만 <가문의 영광>이 시청자들에게 흡인력을 갖게 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이유는 가부장적인 가족제도의 틀이 아닌 가족 구성원의 이야기에 중점을 둔 점이다.

즉, 우리가 고정관념으로 생각하던 종래의 '가부장적 가족제도=종가집'이라는 공식의 틀을 깨버렸다. 자칫 종가집의 가족이야기가 고루하게 흘러갈 수도 있었지만 하만기(신구) 회장을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이야기가 응집되어 풍성한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냈다.

특히 다양한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끌어내다 보니 '가문의 비밀'로 제목을 바꿔야 할 정도로 벗길수록 비밀이 드러났다. 그리고 그러한 구성원들의 이야기 속에서 진정한 가족이란 '핏줄로 이어진 가문의 혈통이 아닌 가족 구성원간의 사랑'임을 이야기했다.


드라마 속에서 종가집인 하만기를 중심으로 아들 석호(서인석)와 종손 수영(전노민)과 태영(김성민) 그리고 단아(윤정희)까지 순탄한 삶을 사는 이가 없다. 아들 석호는 오래 전에 부인과 사별했고, 수영과 태영은 이혼을 했다. 또한 단아는 결혼식을 올렸지만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설정을 놓고 보자면 종가집으로서의 면모를 찾아볼 수 없다. 아니 종가집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특히 종손과 그의 동생의 이혼이 그러하다. 드라마에서 으레 종가집의 이야기를 담을 때 예의와 격식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종가집 사람들은 성인군자와 같은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등장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시청자도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가문의 영광>은 이러한 상처를 간직하고 있는 종가집 사람들이 사랑을 찾아 여행을 떠나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이들이 서로의 사랑을 만났을 때 비로소 <가문의 영광>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가 드러난다.

수영은 종손으로서 자신의 삶을 체념하고 살아왔지만 부인 진아(신다은)를 만나면서 자신의 삶을 가문이 아닌 자신을 위해 살아가고자 마음 먹는다. 더욱이 진아의 불임 사실을 알고도 결혼을 감행한다. 늘 방황하며 어리광을 피우던 태영도 말순(마야)을 만나면서 정착하기 시작한다. 남편의 죽음에 스스로 사랑을 포기하고 살던 단아도 강석(박시후)를 만나면서 사랑의 용기를 낸다.

이처럼 드라마에서는 가족 구성원의 사랑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진정한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되새기게 만든다.

더 나아가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다루다 보니 주인공 단아와 강석에게만 비중이 치우치지 않는다. 그래서 더욱더 풍성한 에피소드로 매회 시청자들을 끌어들이는 힘을 지니게 되었다. 이 점 또한 <가문의 영광>의 인기비결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의 사랑을 제외하고는 다른 출연진들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렇다 보니 후반부로 갈수록 스토리가 빈약해지고, 다른 캐릭터들이 단편적으로 그려지다 보니 시청자들을 고정시키는 힘이 약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가문의 영광>이 끝까지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지 않은 이유 중의 하나이다.

a

종가집의 모습이 핏줄이 아닌 사랑이 있어야 함을 보여준 하만기 회장 ⓒ SBS


사람에 대한 예의를 묻는 <가문의 영광>

이뿐이 아니다. 드라마에서는 궁극적으로 삭막한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무엇으로 살아가야 하는지를 이야기해준다.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해지면서 돈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게 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솔직히 드라마를 볼 때 그래도 돈이 최고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지만 드라마는 줄곧 이야기했다. 그리고 그러한 의미를 극중 말미에 하만기의 출생의 비밀에서 드러냈다. 보통 드라마에서 출생의 비밀을 소재로 이야기할 때는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사용하는데 <가문의 영광>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드라마가 말하고 싶은 주제를 이야기하는 수단으로 사용했다. 하씨의 종손으로 살아온 하만기 회장이 알고 보니 어머니가 전쟁터에 나간 남편이 없는 사이 겁탈을 당해 생긴 자식이었다.

결국 하만기 회장은 하씨의 종손이 아니었다. 가족 모두 그러한 사실을 몰랐지만 하만기 회장은 그런 자식들에게 "사람을 소중히 대하거라. 내 자신을 소중히 여기거라"라며 핏줄에 연연하기보다 사랑으로 자신을 감싸준 아버지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사람을 소중히 대하라는 교훈을 전달해준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예의는 단아와 강석이를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강석이의 집안은 종가집과 반대로 돈만 쫒는 졸부의 집안이다. 이러한 졸부의 등장은 상대적으로 대비시키면서 인간에 대한 예의가 무엇인지를 이야기한다.

극중에서 강석은 냉철한 카리스마로 법에 접촉되지는 않지만 잔인할 만큼 다른 이들에게 냉정함을 보였고. 그의 아버지는 돈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며 돈을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은 사람이었다.

이러한 극과 극의 두 집안이 결혼으로 성사되면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돈보다 중요한 것이 있음을 역설했다. 그리고 그 사이 극이 흐르면서 졸부의 집안은 자신들이 삶을 잘못 살아왔음을 깨닫는다.

이처럼 드라마는 줄곧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뚝심있게 그려냈다. 요사이 극단적이고 선정적인 소재의 드라마가 시청률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일상에서 소소한 감동을 전달하는 일이 쉽지 만은 않았을 터.

하지만 <가문의 영광>은 그러한 초심을 잃지 않고 막장 소재가 아니어도 진부한 소재일지라도 우리가 깨닫지 못한 부분을 일깨워준다면 충분히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드라마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며 화려하게 퇴장했다.
#가문의 영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단독] "문재인 전 대통령과 엮으려는 시도 있었다"
  3. 3 '판도라의 상자' 만지작거리는 교육부... 감당 가능한가
  4. 4 [제보취재] 육군○○사단 사령부 정문, 초병 없고 근무자 수면중
  5. 5 카톡 안 보는 '요즘 10대 애들'의 소통법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