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바다가 위기, 경남권 '패류독소'-전남권 '갯녹음'

등록 2009.04.29 09:14수정 2009.04.29 09:14
0
원고료로 응원
a

남해안 패류독소 조사 결과. ⓒ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안 패류독소 조사 결과. ⓒ 국립수산과학원

 

남해 바다가 위기다. 경남권 바다는 마비성패류독소가 확대되고 있으며, 전남권 바다는 '바다의 사막화'를 가져오는 갯녹음 현상이 북상 중이다. 어민뿐만 아니라 수산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28일 국립수산과학원은 <패독속보> 15호를 통해 마비성패류독소 발생 상황을 밝혔다.

 

진주담치의 경우, 부산 가덕도 천성동, 진해시 명동, 마산시 덕동, 구산면 난포리·구복리·진동, 고성군 동해면 내산리·외산리,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 거제시 칠천도 대곡리 연안에서 마비성패류독소가 82~596㎍/100g으로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부산 영도(태종대)와 통영시 원문에서는 기준치 이하(42~76㎍/100g)가 검출됐으며, 부산시 기장군 송정, 경남 남해 창선 연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굴은 경남 마산시 진동, 고성군 동해면 내산리, 거류면 당동리, 거제시 장목 등에서 기준치 이하(48~52㎍/100g)가 검출됐고, 통영 일원에서는 마비성패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새조개·피조개·바지락·재첩·가리비의 경우, 남해 강진만의 새조개와 피조개, 전남 광양시 섬진강 하구의 재첩, 전북 고창 연안의 바지락, 강원도 강릉 연안의 가리비에서 마비성패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기준치가 초과한 지역 연안에 대해서는 패류채취금지 조치가 내려졌다"면서 "추가로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와 거제시 칠천도 대곡리 연안에 대해서는 패류채취금지 조치를 해당 지자체에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수온상승과 더불어 패류독소 출현해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패류의 독화 정도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어업인들은 독화 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한 지도와 홍보에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전남권 바다에 '갯녹음 현상' 북상

 

a

전남권 바다에 갯녹음 현상이 북상 중이다. 사진 위는 소리도 해역, 아래는 두문포 해역의 갯녹음 현상 모습. ⓒ 국립수산과학원

전남권 바다에 갯녹음 현상이 북상 중이다. 사진 위는 소리도 해역, 아래는 두문포 해역의 갯녹음 현상 모습.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은 28일 전남권 바다에서 '갯녹음' 현상이 북상 중이라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는 지난해 5월부터 전남 해역의 모든 연안을 대상으로 갯녹음 발생해역을 조사한 결과, 2006년 거문도와 소리도 해역에서만 발견되었던(70ha) '갯녹음 현상'이 계속 확산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갯녹음 현상은 어류․패류에 유용한 해조류 군락이 감소하고 이용가치가 없는 흰색 산호류로 뒤덮이는 '바다의 사막화' 현상을 말한다. 소리도, 두문포,  손죽도, 금오도 해역에서는 이미 갯녹음 상태에 들어갔다.

 

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위해 전라남도와 공동으로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여수시까지 바다와 연접해 있는 모든 어촌계를 대상으로 갯녹음 발생여부에 대한 대어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설문 조사한 어촌계 가운데 갯녹음 현상이 진행된다고 답한 80개 해역에 잠수부를 직접 투입하여 갯녹음 발생 여부를 관찰한 결과, 44개 곳(55%)에서 갯녹음이 이미 발생되었거나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여수시와 진도권역 등 주로 외해에 속한 27개 어장의 갯녹음 현상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팀은 1차 갯녹음 조사에서 확인된 지역에 대해 2차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남해안 갯녹음 현상의 특징과 원인을 분석하고, 발생면적을 산정하여 갯녹음 어장 복원과 해중림 조성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남해수산연구소는 올해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전남 거문도 어장과 경남 거제어장의 해중림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2009.04.29 09:14 ⓒ 2009 OhmyNews
#패류독소 #갯녹음 #국립수산과학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