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희 교수의 안식을 기도하며

등록 2009.05.11 09:45수정 2009.05.11 09:45
0
원고료로 응원

서강대에서 강의를 하는 친구에게 장영희 교수를 아느냐고 물었던 적이 있다. 그의 책을 읽고 잔잔한 감동을 받고 난 직후의 일이었다. 나는 그가 쓴 <문학의 숲을 거닐다>를 독파하면서 유려한 문장과 서양시의 진수를 맛본 행운을 안았지만, 그것보다도 글 속에서 저자 장영희 교수의 시린 아픔을 느낄 수 있어서 더 마음이 갔다.

 

그는 중증 장애인으로 인생을 힘겹게 그러나 당당하게 살아온 사람이다. 그녀가 주어진 악 조건을 불굴의 의지로 극복해낸 인간 승리의 주인공이라는 사실은 그 책을 읽고 난 한참 뒤에야 알았다. 그의 다른 책에 자연스레 시선이 갈 수밖에 없었다. <내 생애 단 한 번>은 그의 자전 에세이집으로 진솔한 이야기가 잔잔하게 전개되고 있다.

 

나는 평소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한 차원 더 복잡한(아니 어려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고 생각하고 있다. 비장애인이 3차원의 삶을 영위한다면 장애인은 4차원의 세계를 헤쳐나가고 있다고나 할까? 직간접적으로 주시하는 시선들, 장애로 인해 넘기 힘든 물리적 벽들, 육체적 장애를 정신까지 연결시켜 생각하려는 사람들... . 장영희 교수는 이런 문제를 그의 책에서 아주 서스럼없이 고백하고 있다. 나도 역시 선입견의 소유자에 예외가 될 수 없는 것 같다. 그의 책을 읽으면서 장애인도 이렇게 영롱한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에 한동안 감탄했었으니까.

 

그의 영미시 산책 시리즈 <생일>과 <축복>도 아주 쉽게 읽을 수 있는 책들이다. 영미시에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도 이 책을 읽음으로 시를 좋아하게 되고 또 문학을 사랑하게 되는 특별한 은혜를 누리게 된다. 장 교수의 글은 이론적이 못 된다. 더욱이 계산되지 않은 것들로 채워져 있다. 그의 책을 읽고 처세의 기술을 배운다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을 지배하려는 지식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

 

순수한 마음으로 세상을 밝게 보고 사람을 사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반응할 수 있는 것이 그의 책이다. 이것은 그의 글이 세속적 이익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는 말이 될 것이다. 사상과 이데올로기도 초월해 있으며, 문학의 지향점인 유파에서도 딱히 어디라고 말할 수 없는 특별한 영역에 그의 글은 위치해 있다.

 

장 교수가 별세했다는 보도를 접했다. 남달리 어려운 역정을 극복해 온 사람이기에 슬픔의 도가 더하다. 그녀는 내가 가까운 시일 내에 꼭 한 번 만나보고 싶은 사람이었음에도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장 교수의 별세로 기십년 지기를 잃은 듯한 마음에 휩싸이는 것은 글로 교감하고 공감한 이유가 그만큼 크다는 얘기가 될 것이다.

 

나의 서재 책장 한 칸에는 장 교수의 같은 책이 몇 권씩 꽂혀있다. 언제부턴가 책을 선물할 일이 있을 때, 난 별 고민하지 않고 그의 책을 보내곤 한다. 장 교수의 때묻지 않는 마음과 순수한 열정을 전해주고 싶어서이다. 길지 않은 삶을 열정적으로 살다간 그에게 경의의 마음을 가지고 하늘 나라에서의 안식을 위해 기도한다. 

2009.05.11 09:45 ⓒ 2009 OhmyNews
#장영희 #장애 극복 #문학의 숲은 거닐다 #내 생애 단 한 번 #축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포도 향기 그윽한 김천 외곽 봉산면에서 농촌 목회를 하고 있습니다. 세상과 분리된 교회가 아닌 아웃과 아픔 기쁨을 함께 하는 목회를 하려고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