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ㆍ인천전문대 '통합협의 기본원칙' 체결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성화 분야 학과 신, 증설"vs "규모 키우는 통합 반대"

등록 2009.05.27 18:56수정 2009.05.27 18:56
0
원고료로 응원
a

인천대학교와 인천전문대학은 27일 대학 통합을 위한 '통합협의 기본원칙'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통합논의를 시작했다. ⓒ 한만송


인천대학교와 인천전문대학은 대학 통합을 위한 '통합협의 기본원칙'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통합논의를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인천시장 접견실에서 이루어진 이날 체결식에는 안상수 인천시장, 안경수 인천대학교 총장, 박상언 인천전문대학 학장직무대리가 참석했다.

과거 사립대학시절 같은 선인재단에 속해 있다 두 대학은 1994년 시립대학으로 전환되면서 독립적으로 운영돼 왔다. 양 대학은 그 동안에도 수차례 통합 논의가 있어 왔다.

지난 1999년에는 양 대학이 통합에 합의,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했으나, 건설교통부가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이유로 반대해 통합이 무산됐다.

이후 지난 해 11월 인천시의회 강창규 의원이 양 대학의 통합촉구결의안을 발의했고, 인천시의회가 지난 2월 임시회에서 인천대와 인천전문대의 통합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양 대학 통합이 지역사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인천시는 지난 2월 23일 '대학통합 지원 대책 실무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이후 9차례 실무위원회를 통해 양 대학 통합의 대전제, 양 대학 통합협의위원회 구성, 통합협의 기본원칙, 통합 세부추진일정 등을 논의했다.

양 대학은 대학구성원 의견수렴 및 설명회, 지역사회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 통합 최종안에 대한 구성원 동의절차, 시의회 의견청취 등을 거쳐 7월 초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양 대학의 통합이 계획대로 이루어져 현재 6,780명 규모인 4년제 대학 입학정원이 10,800명으로 증가되면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 및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성화 분야의 학과 신, 증설이 가능해진다.

인천시는 대학운영에 있어서도 규모의 경제 효과로 재정운영의 효율성이 제고되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한층 유리한 상황을 맞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대학교 관계자는 "그 동안 통합 논의가 돼 왔으며, 통합 위원회를 구성해서 논의를 해보겠다는 것으로, 안이 나오면 구성원의 찬반 투표 과정이 있어야 한다"면서, "통합에 대해 양 대학이 긍정적인 합의점을 찾게 된다면 7월 초에 교과부에 관련 서류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관계자는 "대학발전의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고, 단순히 대학 규모를 키우기 위한 통합이라면 반대 한다"고 밝혀, 통합을 위해서는 풀어야할 숙제가 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는 '통합협의 기본원칙' 체결 시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ㆍ재정적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부평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인천대 #인천전문대 #인천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