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떠난 뒤 '서울광장 쟁탈전'... 시민사회-경찰 격돌?

등록 2009.05.29 22:31수정 2009.05.30 04:00
0
원고료로 응원
a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제를 치른 서울광장에서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한 추모행렬이 29일 저녁 서울광장과 청와대로 향하는 태평로에 다시 모여 촛불을 밝히고 있다. ⓒ 남소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제를 치른 서울광장에서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한 추모행렬이 29일 저녁 서울광장과 청와대로 향하는 태평로에 다시 모여 촛불을 밝히고 있다. ⓒ 남소연

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노제가 끝난 후에도 서울광장의 긴장감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고인을 추모하는 시민 1만여 명이 서울광장을 점유한 채 경찰 진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어 광장을 둘러싼 시민사회와 공권력의 신경전이 한동안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더구나 30일 오후4시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는 이명박 정부에 비판적인 단체들의 '민중생존권·민주주의 쟁취 5.30 범국민대회'가 예정되어 있다. 집회를 공동주관하는 용산범대위와 박종태 열사 대책위원회는 "철거민과 노동자, 심지어 전직 대통령까지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이명박 정부의 민주주의 파괴, 민중생존 유린을 규탄하는 국민적 목소리를 다시 투쟁으로 모아내겠다"며 이날 오후 4시부터 ▲ MB악법 저지 ▲ 택배 해고자 원직복직 및 특수고용노동자의 기본권 보장 ▲ 용산참사 문제 해결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서울광장에서 열 방침이다.

 

노 전 대통령의 국민장 이후 처음 열리는 대규모 집회를 평화적이고 안정적으로 열겠다는 게 주최 측 계획이지만, 경찰은 "해당 단체들이 폭력시위 전과가 있다"며 집회를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의 '악몽'을 생각하면, 경찰로서는 당장이라도 광장을 '탈환'해야 하겠지만 노 전 대통령의 죽음으로 격앙된 민심을 어떻게 달랠 것인지가 걱정이다. 서울광장을 지키는 시민들의 자유발언 시간에는 "전직 대통령의 죽음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의 유감 표명은 받아내야 한다"는 기조의 발언들이 줄을 잇고 있다.

 

경찰과 시민들은 이미 23일 임시분향소 현수막 '탈취'와 27일 시민추모제 불허 건으로 깊은 앙금을 안고 있는 상태다.

 

30일 집회에는 민주노총과 한국진보연대·한국대학생연합 등이 결합할 예정인데, 참여단체들은 범국민대회의 열기를 6·13 대회까지는 가져가겠다는 방침이다. 시민사회단체 내부에서는 "노무현 추모 열기를 6월 항쟁 기념주간까지 이어가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박석운 한국진보연대 공동대표는 "노제가 끝난 후에도 정부에 항의하는 의미에서 서울광장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있는 것 같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 지는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밤사이 서울광장 인파가 줄지 않으면 30일의 집회 진압에도 애로가 예상되는 만큼 경찰로서도 서울광장의 통제권을 되찾기 위해 '승부수'를 던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09.05.29 22:31 ⓒ 2009 OhmyNews
#서울광장 #노무현서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4. 4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