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은 진평왕의 장녀일까 차녀일까?

[사극으로 역사 읽기] MBC 창사 48주년 특별기획 <선덕여왕>

등록 2009.06.09 09:18수정 2009.06.21 13:07
0
원고료로 응원
a

MBC 드라마 <선덕여왕>. ⓒ MBC


<자명고>와 <천추태후>에 이어 <선덕여왕>까지 합세함으로써 방송 3사의 사극은 여성 주인공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이전의 고구려·발해 시대(주몽·연개소문·대조영)와 작년의 조선시대(왕과나·이산·대왕세종)를 거쳐, 금년에는 마치 약속이나 된 듯이 특정 시대가 아닌 특정 주제(여성)가 방송 사극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5월 25일부터 방송되어 주목을 끌고 있는 MBC 드라마 <선덕여왕>을 시청하다 보면,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 전혀 다른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재위 632~647년)에 관한 지식에 접하게 된다.

제26대 진평왕(재위 579~632년)과 마야부인의 사이에서 쌍둥이 중의 둘째로 태어난 드라마 속의 선덕여왕(이요원분)은, 정적인 미실(고현정분)이 '어출쌍생, 성골남진'(왕이 쌍둥이를 낳으면 성골 남자의 씨가 마른다)의 예언을 활용할 것을 두려워한 아버지 진평왕의 명령에 의해 시녀인 소화(서영희분)의 품에 안겨 중국 서북쪽의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되었다.

사막에서 소화와 함께 주점을 경영한 드라마 속의 덕만(어린 시절의 선덕여왕)은 그곳에서 장사 수완을 익혔을 뿐만 아니라 계림어(신라어) 외에 중국어·로마어까지 구사하고 그리스 역사가인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까지 읽었을 정도로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로마 상인들과 친한 드라마 속의 덕만은 마음속으로 로마를 동경하는 꿈 많은 소녀이기도 하다.

드라마 속의 덕만은, 자신이 누구의 딸인지도 모른 채 소화를 친어머니로 알고 살다가 15년간 자신들을 추적해온 미실의 부하 칠숙의 등장으로 인해 '최근에야' 비로소 출생의 비밀을 찾아나서기 시작했다. 앞으로 이 드라마는, 사막에서 선머슴처럼 자란 덕만이 양어머니인 소화를 잃은 채로 계림(신라)으로 돌아와 왕위에 등극하는 과정을 그리게 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속 선덕여왕은

그럼, 픽션임이 분명한 사막에서의 성장과정이나 외국어능력 등은 제외하고 드라마에 묘사된 선덕여왕의 어린 시절 이야기는 과연 어느 정도나 사실일까? 그는 정말로 진평왕의 차녀로서 왕위를 계승했을까? 여기서는 선덕여왕이 장녀였는지 차녀였는지 하는 점에 관해서만 이야기를 국한시키기로 한다. 먼저, 기존에 인정된 사료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이에 관해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삼국사기> 권5 선덕여왕 : "선덕왕이 즉위하니 휘(이름)는 덕만이고, 진평왕의 장녀다. 어머니는 김씨이며 마야부인이다. 덕만의 성품은 관대하고 명민하였다. 왕이 죽고 아들이 없어서 국인(國人)들이 덕만을 세워 성조황고(聖祖皇姑)라는 호를 올렸다."

<삼국유사> 권1 왕력(王曆) : "제27대 선덕여왕. 이름은 덕만. 아버지는 진평왕, 어머니는 마야부인 김씨. 성골 남자가 없었기 때문에 여왕이 즉위했다."

위의 <삼국사기>에서는 선덕여왕이 진평왕의 장녀였다고 알려주고 있고, 이보다 늦게 나온 <삼국유사>에서는 특별한 반대 사실을 알려주고 있지 않다. 이처럼 기존에 알려진 사료들을 기초로 하면, 선덕여왕은 진평왕의 장녀로서 왕위를 계승했다는 판단에 도달하게 된다.

그럼,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무엇을 근거로 선덕여왕을 진평왕의 차녀로 그리고 있을까? 드라마 <선덕여왕>이 근거로 삼고 있는 자료로는 위의 두 책 외에도 김대문이 지은 <화랑세기>를 들 수 있다. 덕만공주에게 천명공주라는 언니가 있었고 그 천명공주가 진평왕의 장녀라는 드라마의 내용은 바로 <화랑세기>를 근거로 한 것이다.

그런데 <화랑세기>의 내용에 대해서는 무작정 신뢰를 보낼 수 없다. 왜냐하면, 이와 관련한 진위논쟁이 현재 진행 중에 있기 때문이다. 1989년에 32쪽짜리 <화랑세기> 초록본 일부가 공개된 데에 이어 1995년에 162쪽짜리 <화랑세기> 필사본이 추가로 공개된 이후로 이것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한국사 학계에서 벌어졌다. 그리고 아직 이 논쟁은 해결되지 않았다.

진위 여부로 논란을 빚고 있는 <화랑세기>

현재까지는 다수설이라 할 수 있는 <화랑세기> 위작설 쪽에서는 ▲<삼국사기>와 전혀 다른 <화랑세기>의 성관계(근친혼·동성애·다부제多夫制 등)는 후세 사람들이 신라를 헐뜯기 위해 악의적으로 위작한 결과일 것이다 ▲<화랑세기>가 일본 사료와 유사한 점을 볼 때에 일본인에 의해 위작되었을 수 있다 ▲<화랑세기>의 구성에 나타난 사회학적인 유형 분류가 상당히 근대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그런 사고를 가진 누군가에 의해 위작되었을 수 있다 등등의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위논쟁에도 불구하고 <화랑세기>라는 책이 있었던 것만큼은 분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이 책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삼국사기> 권46 설총열전에는 "김대문은 본래 신라 귀족의 자제로서 성덕왕 3년(704)에 한산주 도독이 되었고 전기(傳記) 약간을 지었으며, 그의 <고승전> <화랑세기> <악본> <한산기>가 아직도 남아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볼 때, 신라인 김대문이 <화랑세기>를 지었고 김부식(1075~1151년) 시대에도 그 책이 전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진위논쟁은 <화랑세기> 자체에 대한 게 아니라 초록본이나 필사본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만약 현재의 초록본이나 필사본이 김대문의 원본을 그대로 베낀 것이라는 사실이 인정된다면, 신라의 사회상에 관한 한 고려시대 사람인 김부식보다는 신라인인 김대문의 기록을 더 신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진위논쟁이 아직 해결되지는 않았으므로, 현재 나와 있는 <화랑세기>에 대한 우리의 '불신'과 '믿음'은 모두 다 유보될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진위논쟁에 대한 판단을 보류한 채, 드라마 <선덕여왕>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범위에서만 <화랑세기>의 내용을 인용하기로 한다.

<화랑세기>선 진평왕 차녀로 돼 있는 선덕여왕

a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선덕여왕(이요원)은 진평왕의 차녀로 설정돼 있다. ⓒ MBC


다시 본래의 논의로 돌아가서, 초록본 및 필사본 <화랑세기>에서 선덕여왕에 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화랑세기>의 13세(世) 용춘공 기사에서는 선덕공주(덕만공주) 위에 천명공주가 있었다고 알려주고 있다. 이 기사에 따르면, 적자가 없는 진평왕이 처음에는 금륜왕(진지왕)의 아들인 용수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그를 천명공주와 결혼시켰지만, 나중에는 선덕공주가 왕위를 이를 만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판단되자 천명공주에게 지위를 양보하도록 권유했다고 한다. 천명공주가 아버지 진평왕의 명을 따라 스스로 지위를 버리고 궁을 나감으로써 선덕공주가 대권을 이어받게 되었다는 것이 <화랑세기>의 내용이다.

<화랑세기>의 내용을 토대로 하면, 천명공주는 왕이 되기에 부족했기에 진평왕이 용수라는 유능한 인물을 그의 남편으로 만들어준 데에 비해, 선덕공주는 직접 왕이 될 자격이 있었기에 진평왕이 언니 대신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삼국사기>와 달리 <화랑세기>에서는 선덕여왕이 진평왕의 장녀가 아니라 차녀였으며 언니인 천명공주가 스스로 물러남에 따라 아버지의 뒤를 잇게 되었다고 알려주고 있다. 드라마 <선덕여왕>은 이와 같은 <화랑세기>의 내용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에서는 선덕여왕이 진평왕의 장녀였다고 하고 있고 <화랑세기>의 진위논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므로, 이에 관한 우리의 판단은 아직은 확정적일 수 없다. 현재로서는 '선덕여왕은 진평왕의 장녀라는 것이 정설이지만 실제로는 차녀일 수도 있다'라고 판단해두는 게 타당할 것이다.

실제 훨씬 더 드라마틱한 삶을 산 선덕여왕

한편, 어린 시절의 선덕여왕이 중국 서북쪽의 사막에서 숨어 살았으며 그가 로마를 동경했다는 등등의 드라마 내용은 <화랑세기>에도 나오지 않는 내용이다. 이런 허구는, 좁은 한반도에서 벗어나 대륙으로 웅비하려는 한국인들의 최근 정서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실제의 선덕여왕은 드라마에서처럼 극적인 유년시절을 살지는 않았지만, 실제의 선덕여왕 시대는 그보다 훨씬 더 드라마틱한 시대였다. 그의 재위기는 고구려·백제·신라 삼국과 일본열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최약체였던 신라가 고구려·백제를 제치고 강국으로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선덕여왕 시대를 이해하는 것은 신라의 급속성장 비결을 이해하는 것이기도 하다.

고구려다운 삶도 한민족의 삶이었고 신라다운 삶도 한민족의 삶이었으므로, '정통은 고구려'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한 번쯤 신라다운 삶을 객관적으로 살펴본다면 신라로부터 배워야 할 점과 그렇지 않은 점을 올바로 파악할 수 있는 지혜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선덕여왕에 대한 관심이 우리에게 그러한 지혜를 선사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선덕여왕 #화랑세기 #덕만공주 #천명공주 #진평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4. 4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5. 5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