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구 용현동 용마루 통합 주민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인천지역에서 개최된 집회에 참석해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60대 후반의 노인들이다. 비현실적인 주거환경개선사업 추진 중단을 주장하고 있다.
한만송
인천 남동구 간석지역에서 대책위를 꾸려 활동하고 있는 우명숙씨는 "개발을 부추기는 정부와 인천시의 주거정책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힘없는 도시서민들은 갈 곳이 없다"면서, "특히나 용마루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는 60대 이상이 70%를 차지할 정도"라고 말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보상가액은 재개발지역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노인들이 더욱 개발을 반대하고 있다. 최근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 향촌지구의 경우 3.3㎡당 보상가액은 170만원에서 180만원 사이였다. 또한 간석지구의 경우는 이보다 조금 형편이 좋지만, 280만원에서 320만원에 불과하다.
주거환경은 열악하지만 자신의 집에서 저축한 돈과 임대수입 등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노인들은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아파트를 분양받더라도 재입주할 수 없는 처지에 놓인다.
우씨는 "임대소득과 자녀들의 용돈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들이 젊은 사람처럼 맞벌이라도 해서 은행담보를 통해 새 아파트에 입주하면 좋겠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대부분 입주를 포기하든가 자녀들에게 재산권을 물려준다"고 말했다.
서민 없는 재개발 방식, 도시서민들의 보금자리 빼앗아 한국의 재개발 정책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신속하게 노후ㆍ불량주택을 헐어내고 고층 아파트를 짓는 정책으로 추진돼 현재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당시 전두환․노태우 정권은 올림픽을 찾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겠다면서 서울의 '달동네'촌을 싹 밀어내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지었다.
인천시도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개최에 대비해 구도심 재생사업을 강력하게 추진 중이다. 인천시는 재개발 부서 직원에게 인센티브를 줘가면서 신속한 재개발 사업 추진을 주문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은 지 얼마 안 되는 신축 빌라 등도 헐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모든 재개발 사업을 통해 보급되는 주택은 천편일률적인 아파트다. 콘크리트 숲으로 둘러싸인 대한민국에 어떤 문화 상품이 존재할까하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현재의 재개발 방식은 도시서민들의 보금자리를 빼앗고 있다. 젊은 층과 도시 저소득층이 사는 소형주택과 전월세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서울시의 경우도 재개발로 인해 전용면적 60㎡이하 주택비율이 63%에서 30%로 줄었고, 재개발 전에 83%를 차지했던 전세가 4000만원 이하 주택은 아예 찾아볼 수 없다. 인천의 경우도 절대 다수의 구도심이 재개발 정비예정구역으로 고시됨에 따라 빌라 가격의 급상승과 전월세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시 재원으로 재개발구역 내 임대주택 등과 같이 공공성을 띤 시설의 경우 매입해 공급하고 있지만, 인천시는 이런 대책도 없다. 더욱이 인천시의 경우 도시서민들의 향후 주거문화 등에 대한 연구 등을 찾아볼 수 없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500년 살아온 이 동네에서 눈 감고 싶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