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냥 국이 아이다, 보약이다 생각케라"

[음식이야기 ②] 엄마의 곰국에 담긴 '뜨거운' 삶의 의지

등록 2009.10.24 13:59수정 2009.10.24 13:59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추억은 흐르고, 기억은 불현듯 떠오른다. 울긋불긋한 낙엽이 지는 걸 보고 옛 애인이 생각난다면 당신은 사랑의 열병을 통과한 사람. 혹시나 그 애인과 덕수궁 주변을 걸은 적 있다면, 덕수궁 돌담길의 까슬까슬한 감촉마저도 생생히 기억날지도 모른다.


불현듯 기억이 떠오른다는 건, 삶이 그만큼 풍부하다는 증거다. 기억의 저장고에 담아두어야 할 추억이 많은 사람치고 헛헛한 가슴을 가진 사람은 없다. 추억은 삶의 풍요이자 삶의 위안이다. 때때로 음식의 맛과 향으로 추억을 떠올리기도 한다. 이를 '프루스트 현상'이라 부른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는 주인공이 마들렌을 먹다가 불현듯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이 있다. 과자의 향과 맛이 입안을 촉촉이 적시는 순간, 스크린에 영화가 투사되듯 주인공의 머리에는 수많은 이미지가 그려진다.

이 놀라운 발견은 작가인 프루스트 자신뿐만 아니라 후일 질 들뢰즈 같은 철학자에게 무한한 영감을 준다. 오죽했으면, 들뢰즈는 이 현상을 바탕으로 <프루스트와 기호들>이라는 책 까지 냈을까.

나의 프루스트 현상 : 대체 곰국이 숭늉과 다른 게 뭐란 말야

a

완성된 곰국 곰국. 소금과 파를 넣어서 적당히 간을 하지 않은 곰국은 그 맛이 숭늉처럼 밍밍하다. ⓒ 한성수


내게도 프루스트 현상이라고 할 만한 경험이 있다. 엄마의 곰국이 그렇다. 어렸을 적 나는 곰국을 싫어했다. 아이의 눈에 비친 곰국은 숭늉과 다를 바 없었다. 사실 소금과 파를 넣어서 적당히 간을 하지 않은 곰국은 그 맛이 숭늉처럼 밍밍하다. 나는 곰국과 숭늉의 차이가 소금을 넣고 안 넣고의 차이라고 믿었다.


또 어린 마음에 으레 고깃국이란 빨간 양념이 들어간 육개장이나 소고기국 정도는 되어야지, 라는 거만한 생각을 했었다. 그래서인지, 밥상에 곰국이 올라오면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 아들의 오만방자한 자태를 본 엄마는 이걸 "보약이다 생각케라~!"라며, 내 입을 억지로 벌려 곰국을 밀어 넣었다.

엄마도 곰국도 죄다 미웠다. 그 때는 몰랐다. 곰국이 보약처럼 힘의 원천이 된다는 엄마의 말을. 돌이켜보면 그때 엄마는 아들에게 원기를 불어넣어주고 싶었던 거다. 남들보다 강하고 꼿꼿하게 자라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 세파를 견뎌내는 힘을 키워주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어렸을 적 우리 집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안 해본 일이 없다. 아버지는 직업의 귀천을 가리지 않았고, 박정희 정권으로부터 물려받은 '새마을 정신'으로 무장한 채 맨손으로 세상과 대적했으며, 어머니는 집을 끼고 장사를 했다.

엄마는 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만 해도 예쁜 언니들과 다방을 운영했다. 훗날 차를 팔아 그러모은 돈으로 90년대 외식 문화의 중심에 있던 돈가스 집을 열었다. 또 다시 후일에는 일명 경상도 식으로 '고디탕(다슬기로 만든 탕이다)'이라는 걸 만드는 장사도 했다. 또 간간이 친구를 도와 일식집에서 회 뜨는 일도 해보셨고, 한식당에서 잔일도 거들었다. 지금은 형과 함께 삼겹살 집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한 요리사 엄마 : 다방, 돈가스집, 고디탕집, 삼겹살집

차, 한식, 양식, 일식을 두루 거친 우리 엄마의 손맛은 가히 따를 자가 없다. 중국의 차 문화도 어슴푸레 알고, 일본식으로 회 뜨는 법과 양키들의 칼질도 대충 짐작하고 있는 우리 엄마는 글로벌한 요리사다.

엄마는 평생 자식들의 의식주를 책임지기 위해 음식을 만들어 돈을 벌었고, 또 그 솜씨로 자식들의 음식도 책임지셨다. 엄마는 365일 쉬지 않고 밥을 한다. 특히나 장사를 할라치면, 하루라도 쉬는 법이 없다.

그래서 어머니는 예나 지금이나 가게 딸린 방에서 살고 있다. 형이 결혼해서 아파트를 얻어 독립하고, 아버지가 시골에 땅을 사서 번듯한 집을 지어놓았어도, 어머니는 가게 한 편에 마련된 방에서 홀로 잠을 주무신다. 아버지가 잔소리를 하든, 아들들이 걱정을 하든 당신은 그게 편하단다. 

지난 설 당일에도 엄마는 "한 테이블이라도 받아서 돈 벌라카믄 문을 열어야지, 와 안 여노!"라면서 차례를 지내자마자 가게 문을 열었고, 그날 엄마는 두 솥이나 되는 밥을 모두 팔고 난 후에 자리에 누우셨다. 엄마의 인생이란 이렇듯 손에 물이 마를 날 없는 삶이다.

그때 나는, 엄마의 인생이 밥 짓고 국 끓이는 여자의 인생이라는 걸 알았다. 엄마를 폄하하거나, 가부장적인 시선으로 대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냥 엄마의 인생은 정말 그랬다. 누군가를 위해 차를 만들고, 국을 끓이고, 밥을 지어 그네들의 목마른 입을 촉촉이 적셔주는 게 엄마의 인생이었다.

엄마의 곰국에 담긴 뜨거운 삶의 의지

a

진국곰국물 ⓒ 이덕은


지난 설에도 엄마가 곰국을 끓였다. 엄마가 곰국을 끓일 준비를 하면 나는 살짝 긴장한다. 엄마가 끓인 곰국은 필히 고향에 내려온 아들의 몸보신용이기 때문이다. 나는 연휴 내내 곰국만 먹어야 할 게 뻔했다.

그러나 삼시 세끼 곰탕이 뭐냐고 투정은커녕 차려주시는 대로 감사히 먹어야 한다. 그게 우리 집 불문율이다. 엄마의 특식은 곧 엄마의 정성이다. 그걸 무시할라치면 불호령이 떨어져 밥상머리에 앉을 수도 없다.

48시간을 끓여 만든 곰국의 맛은 진했다. 추어탕은 끓는 솥에 미꾸라지를 산 채로 집어넣는다. 그러면 미꾸라지는 솥에 올라온 불 기운으로 죽는다. 불구덩이(?) 속에서 서로 악다구니를 치면서 몸을 부대끼다가 결국은 재로 변하듯이 바스러지면서 국물 맛이 우러나는 것이다.

곰국도 추어탕과 다르지 않다. 그것도 결국은 소뼈들의 몸부림이다. 살점과 뼈들이 서로 부대끼면서 48시간을 뜨거운 물 속에 고아질 때 우리가 마시는 국물은 그야말로 생의 몸부림이다. 살고자 하는 의지의 몸부림. 한국식 국물에는 이런 생의 몸부림이 가득 담겨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그걸 끓이는 자의 정성이 담뿍 담겨 있다. 엄마의 곰국에는 그런 맛이 느껴진다.
#음식 #곰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3. 3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4. 4 '한국판 워터게이트'... 윤 대통령 결단 못하면 끝이다
  5. 5 "쓰러져도 괜찮으니..." 얼차려 도중 군인이 죽는 진짜 이유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