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방송분에서 왕이 된 선덕.
MBC
<삼국사기> 기록에서는 사전에 칠숙의 난을 진압한 주체가 진평왕이라고 했지만, 위와 같은 정황으로 볼 때 진평왕이 사건처리를 직접 주도했다고 보기는 힘들 것이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김용춘·김서현이 사건처리를 주도했다'는 설과 '김춘추·김유신이 사건처리를 주도했다'는 설을 제기하고 있다.
'5공 정권의 비자금 공급책' 이원조를 연상시키는 화랑 염장이 칠숙의 난 이후에 조부령(기획재정부 장관)이 되어 김춘추·김유신에게 '비자금'을 제공했다는 <화랑세기> 제17세 풍월주 염장 편의 기록을 볼 때에, 위의 두 학설 중에서 김춘추·김유신 주도설이 신빙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칠숙의 난을 처리한 쪽에 권력과 돈이 집중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설은 실질적으로 똑같은 말이나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김춘추는 김용춘의 아들 또는 조카이고, 김유신은 김서현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어느 설을 취하든 간에 김춘추 가문과 김유신 가문이 칠숙의 난을 통해 정국 주도권을 장악했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선덕여왕 집권기에 김춘추와 김유신이 여왕의 양 날개가 되어 한 사람은 외교를 맡고 한 사람은 군사를 맡게 된 데에는 칠숙의 난이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들을 볼 때, 칠숙의 난은 선덕여왕 집권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김춘추·김유신 가문의 득세를 초래하고 나아가서는 진골 신분인 김춘추의 대권 장악에 기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귀족세력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른 선덕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미실의 죽음과 칠숙의 난을 계기로 반대파를 제압한 덕만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즉위식을 치렀다고 묘사했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삼국사기> 기록과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어떻게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
언뜻 보면 그냥 무심코 지나칠 수도 있는 문장이지만, <삼국사기> 권5 '선덕여왕 본기'의 서두에는 미묘한 문장 하나가 있다. "왕(진평왕)이 죽고 아들이 없어서 국인(國人)들이 덕만을 세워 성조황고(聖祖皇姑)라는 호를 올렸다"는 문장이 바로 그것이다. 참고로, 국인이란 것은 '국(國) 즉 도성에 거주하는 사람들'로 상징되는 고급 귀족세력을 가리킨다. 국(國)이란 한자는 한때 '도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위의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덕만은 '귀족세력의 추대'라는 공식절차를 거쳐 왕위에 올랐다. 그런데 선덕여왕의 전임자인 진흥왕·진지왕·진평왕은 이런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또 후임자인 진덕여왕 역시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법리적으로 엄격히 말하면, 선덕여왕은 '진평왕의 후계자'라는 지위에서 왕위에 오른 게 아니라 '귀족세력의 추대를 받은 자'라는 지위에서 왕위에 오른 것이다. <화랑세기> 제13세 풍월주 김용춘 편에서는 진평왕 생전에 이미 덕만이 후계자가 되었다고 했지만, 그런 것과 관계없이 덕만은 진평왕 사후에 '귀족세력의 추대'라는 별도의 절차를 거쳐 왕위에 올랐던 것이다.
물론 어느 경우에도 귀족세력의 지지나 옹립이 있어야 왕위에 오를 수 있겠지만, 귀족세력의 추대라는 공식절차가 있는 것과 없는 것 사이에는 하늘과 땅 사이의 차이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전임자의 지명을 받아 왕위에 오르는 것과 의회(귀족세력)의 의결을 거쳐 왕위에 오르는 것은 질적으로 분명히 다른 일이다.
선덕여왕이 귀족세력의 추대라는 공식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그 직전에 발생한 칠숙의 난으로 인해 정국이 어수선했을 뿐만 아니라 덕만의 위상이 위축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칠숙의 난을 진압한 핵심 세력이 김춘추·김유신 가문이었음을 고려할 때에, 이 사건을 통해 힘이 막강해진 두 가문이 귀족세력의 추대라는 형식을 빌려 여왕의 등극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진평왕 말기 정국불안 배경으로 발생한 '칠숙의 난'훗날 김춘추가 추대절차를 거쳐 등극한 것은, 그의 신분적 한계(진골)로 인해 형식적으로나마 귀족세력의 동의를 얻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칠숙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김춘추·김유신 가문의 힘에 크게 의존한 선덕여왕은 등극 과정에서도 양가(兩家)로 대표되는 귀족세력의 힘에 크게 의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을 본다면, 선덕여왕의 즉위과정에서부터 훗날의 신라 정치구도가 이미 상당 정도로 잉태되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김춘추·김유신 가문이 선덕여왕 시대에 국정을 주도하고 김춘추가 선덕여왕 사후 7년 뒤에 진덕여왕을 이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두 가문이 칠숙의 난과 선덕여왕 즉위라는 사건들을 거쳐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선덕여왕> 제51부에서 미실의 죽음과 연관되어 압축적으로 소개된 칠숙의 난과 선덕여왕 즉위라는 두 사건은 실제로는 미실과 아무 관계없이 진평왕 말기의 정국불안을 배경으로 발생한 사건들이었다.
또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두 사건을 장래에 발생할 비담의 난을 암시하는 복선으로 설정했지만, 실제로 이 두 사건은 김춘추·김유신 가문의 득세 및 김춘추의 등극을 암시하는 복선이었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