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식사를 마친 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휴계실 모여 불안한 미래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자료사진)
이화영
전도유망한 31세의 젊은 청년 김아무개씨가 지난해 10월 자살했다.
김씨는 100: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7급 공무원공채시험에 합격해 2005년 경기도 용인시에 임용됐다. 직장 내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공무원 경력 3년 만에 공직사회에서 노른자위로 꼽히는 인사부서 차석으로 발탁됐다.
하지만 그는 이 부서에서 근무한지 채 5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특정인을 승진시키기 위해 도장을 위조하고 근무평정 서류를 조작한 혐의로 감사원 감사를 받은 지 20일 만에 결국 심적 중압감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검찰은 김씨에게 부당한 지시를 한 직속상관인 전 행정과장 김아무개(53)씨와 전 인사담당 이아무개(48)씨를 구속하는 한편, 이들 선에서 광범위한 인사비리가 자행됐다고는 보기 어렵다고 판단해 '몸통'을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다면평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본격 시행공무원 6급 이하의 승진인사는 근무평정 70%와 다면평가 30%를 합산해 4배수로 인원을 선발하고 인사위원회에서 2배수로 압축해 그중 인사권자가 1명을 낙점해 승진시킨다. 5급 이상의 경우 과정은 6급과 같지만 승진 자 결정은 인사위원회에서 한다.
이번 사건의 유형은 승진 자를 결정하는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근무평정 서류 조작이다. 10여 년 전만해도 승진 자에 대한 평가는 인사권자나 관리자가 평가를 하는 근무평정이 100%를 차지하면서 금품이 오가거나 줄서기를 하는 등의 사건이 비일비재 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다면평가다.
노무현 정부 들어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의 인사비리를 막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 '다면평가제'를 전면 시행했다. 이 제도는 노 전 대통령이 해양수산부장관 때 인사의 전횡을 막고 합리적인 인사를 위해 지난 2000년 도입, 체계적으로 만들면서 확산되기 시작했다.
다면평가제는 공무원 승진, 보직관리, 성과급 지급, 교육훈련 등에 폭넓게 활용돼 왔다. 이 제도는 인사권자나 관리자 한사람의 독단적 평가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선배, 동료, 후배가 평가에 참여하게 해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실적과 능력 중심의 인사 유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서 공직사회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공무원들의 수직 관계가 수평적 관계로 개선되고, 권위적이고 고압적이던 문화가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또한 상명하달, 일방통행 식 회의도 조심스럽지만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선까지 진보했다.
'인기투표', 감정적인 평가라면 대통령 선거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