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120만명... 한국은 제2의 민족형성기"

[인터뷰] 한국다문화총연합회 정명희 사무총장

등록 2010.03.06 17:41수정 2010.03.06 17:41
0
원고료로 응원
한국 내 이주민 120만명 시대다. 주민등록 인구의 2.2%를 차지한다. 다문화국가의 기준은 3%. 유엔미래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에는 이민자와 자녀들의 숫자가 전체 인구의 21.3%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다문화총연합회(Korea Multicultural Congress, KMC)는 바로 이런 한국의 현실을 직시하고 대책과 지원을 마련하고자 오는 9일 출범한다.

한국다문화총연합회의 정명희 사무총장은 현 시점을 "제2의 민족 형성기"라고 말한다. 더불어 "늦지도, 빠르지도 않은 이 시점에서 국가가 원칙을 가지고 다문화인들의 정책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a

정명희 사무총장 오느느3월9일 발족하는 한국다문화총연합회 사무총장 정명희 성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숭규


#. 세계를 돌며 관심 가져, 폐쇄적 인식이 문제

정명희 사무총장은 여행사 사장에서 교수로 변신한 경우다. 성결대 사회복지학부 교수이자 성결대 다문화평화연구소 협력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다문화현상의 전문가임을 자부한다.

여행사를 운영하는 덕분에 "안 가본 나라가 없다"고 말할 정도로 여러 나라를 돌아봤다. 다양한 국가를 여행하면서 각종 서비스와 제도들을 경험했다.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다양한 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

학기 중에는 안양에 살지만 친구, 일, 모든 것이 스페인에 있다. 유럽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한국과 유럽의 다문화인 지원을 비교하게 됐다.


정 사무총장은 "유럽의 이민정책은 인권이 우선이다"며 우리나라 현실을 꼬집었다.

"아프면 먼저 치료를 하는게 선진국이죠. 우리나라는 불법이민자에게 칼 같아요. 일단 쫓아내는 것이 우선이에요."


원칙에서 벗어나면 일체 보호하지 않는 것이 선진국과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한국 내 다문화센터의 실태를 지적했다.

"다문화인은 급증하지만 관련 기관들이 산발적으로 운영돼 중복 프로그램으로 인한 예산이 낭비되고 서비스가 비효율적으로 제공되고 있어요."

정부 기관을 비롯해 종교단체, 복지재단 등 다문화인에 대한 서비스가 산발적이며 난립해 있다는 것.

우후죽순으로 생기는 다문화센터의 일방적이고 획일화된 프로그램이 아니라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정 사무총장의 생각이다.

"다문화인들이 원하는 것은 사회참여에요. 언어를 배워 돈을 벌고 결국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인정받고 활동하고 싶은 것이죠."

이를 위해 한국다문화총연합회는 다문화인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 문화예술, 치안, 노동… 다방면 지원

9일 출범하는 한국다문화총연합회는 기업·노동·국방·치안·언론·복지·법률·교육·문화예술 등 9개 분야에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다문화 정책에서 기업인들이 역할이 중요해졌다. 기업위원회를 구성해 다문화인들의 사회참여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근로자의 10~15%를 다문화인으로 채용을 추진하게 된다. 정 사무총장은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외국의 경우에는 탄력적으로 이민정책을 운영해 우수한 인력을 끌어오는데 긍정적 작용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단일민족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 폐쇄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외국인뿐 만 아니라 내국인의 의식 개선도 필요하다고 판단, 이를 위한 홍보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다문화사회의 자율적 범죄예방도 지원할 계획이다. 정 사무총장은 "다문화인들이 스스로 자율방범 활동을 하는 활동은 사회 구성원으로써 사회참여의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정부 각 부처의 다문화 관련 행사를 한국다문화총연합회가 맡을 계획이다. 각각의 다문화센터들이 역량 부족으로 하지 못하는 꼭 필요한 사업들도 심사해서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궁극적으로 한국다문화총연합회는 연구활동을 하면서 다문화사회가 가지는 애로사항을 대변, 정부에 전달해 통일된 창구역할을 한다. 더불어 입법 제안을 통해 개선 방안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2030년, 한국이 매우 위험한 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죠. 지금이 체계적으로 다문화정책을 세워야 할 시기에요."

▲ 정명희 사무총장은 성결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안양과의 인연은 20년 전부터 시작됐다. 학기중에는 안양에 거주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스페인에서 생활한다. 여행사를 운영하며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다보니 자연스레 다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안양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안양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국다문화총연합회 #정명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5. 5 '포항 유전' 효과 없었다... 윤 대통령 국정 지지율 29%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