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문래초등학교는 2005년 7월 쌀을 시작으로 2006년에는 청과류와 육류까지 친환경급식으로 바꿨다.
CRIC 농촌정보문화센터
이렇게 건강한 밥을 먹는 데 드는 돈은 한 달에 4만530원(한 끼당 1930원)이다. 초등학교 급식치고 가격이 만만치 않다. 친환경 농축산물을 사용하면서 급식비가 매달 3000원 늘었고 유기농 장류를 쓰면서 3000원이 더 늘었다.
시민사회단체가 주장하는 친환경무상급식에서도 돈이 걸림돌이다. 친환경무상급식풀뿌리연대(풀뿌리연대) 측에 따르면,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하는 데는 2조9000억 원이 들고 전국적으로 친환경식자재를 사용하면 약 6750억 원 규모가 더 든다.
풀뿌리연대는 "직영-친환경-무상급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안전한 급식, 건강한 급식, 평안한 밥 먹기가 가능해진다"고 주장한다.
전달체계로 지역별 급식지원센터를 설치하면 친환경농업 기반 확대, 일자리 창출, 농촌경제 활성화라는 여러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 여당은 당정협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예산상의 이유를 들어 일반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친환경'은 아예 급식정책에 들어가지도 않았다.
그러나 문래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을 이끌고 있는 유관호 교사는 "중요한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의지"라고 말했다. 고민하면 방법은 많다는 것이다. 이 학교가 그랬듯이 일단 단계적으로 쌀부터 친환경으로 바꿀 수도 있고, 친환경 농업이 활발한 농촌 지자체와 도시 지자체를 연계해 추가 예산을 반씩 분담할 수도 있다.
그는 경남 합천의 친환경 무상급식을 부러워했다. 그는 "아무래도 농민 유권자가 없는 서울의 시의원·구의원에게는 이게 중요한 의제가 아니"라면서 "사회적으로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좋을 텐데"라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역사적으로 이렇게 학교급식이 전국적인 쟁점이 된 적이 없지만, 유관호 교사는 현재의 여론에 큰 기대를 보이진 않았다. 현재 시민들의 관심은 "친환경무상급식이 되면 좋다"는 바람 정도지, "꼭 해야겠다"는 의지가 크지는 않다는 생각이다. 그러면서 "충분한 토론과 공청회를 통해 친환경무상급식에 대한 철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학교에서도 학부모들을 설득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기회가 닿는 대로 유기농 농촌체험을 실시하고 가정통신문도 보내서 왜 친환경농산물을 써야 하는지 설명했다. 1년의 시간을 보낸 뒤에야 학부모 90%의 찬성으로 급식비를 올려 친환경밥상을 만들 수 있었다.
유관호 교사는 "사실 교사는 수업과 업무에 바빠서 급식 문제까지 챙기기 어렵다"면서 "아이에게 먹일 밥이라는 생각으로 학부모가 좀더 나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래초등학교는 물론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부모가 아닌 교사의 주도로 친환경급식이 도입됐다고 했다.
식자재 유통도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그동안 유 교사는 일선 학교나 급식 관계자들로부터 "친환경급식이 갑자기 늘어나면 공급량이 부족하지 않냐"는 질문을 자주 들었다. 그의 답변은 반대로 생각하자는 것이다. 일단 수요를 발생시켜 생산을 늘리자는 것이다.
그러면서 시민사회단체가 주장하는 지역급식지원센터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역 단위에서 도시와 농촌을 직거래로 연결하고 식자재를 검수·입찰·공급하면, 밥값도 줄어들 뿐 아니라 단위 학교의 수고도 덜 수 있다. 지금은 영양교사들이 친환경식자재 품목에 따라 8개 업체를 별도로 정해야 한다.
"엄마 아빠, 전기플러그 뽑아요!" 잔소리꾼이 된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