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자리잡기 "줄을 서시오"3월 23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뜸사랑 대국민 뜸자리 잡기' 행사는 제주, 울산, 광주 등 전국에서 몰려온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 채 진행됐다. 이들은 침구사 양성을 통해서 국민들이 침구 시술에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정지환
장사진(長蛇陣).
어제(23일) 오전 '뜸사랑 대국민 뜸자리 잡기' 행사가 열리고 있던 잠실을 방문했다.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 7번 출구에서 행사가 열리는 실내체육관에 이르는 연도를 다양한 연령의 남녀 시민들이 가득 메우고 있었다. 진료 순서를 기다리던 사람들이 넘치면서 체육관 관람석까지 올라가 경기를 관전하듯 앉아있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고, 구당 김남수 회장이 잠시 행사장 밖으로 나오자 줄을 서서 기다리던 사람들이 일제히 박수와 함성을 보내기도 했다.
뜸사랑은 체육관 바닥에 약 200개의 병상을 설치했다. 이후 300여 명의 뜸요법사가 환자들을 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주, 울산, 광주 등 전국에서 밀물처럼 몰려온 사람들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처럼 보였다. 뇌종양에 걸려 사경을 헤매는 아이를 휠체어에 태우고 와서 구당 김남수 선생의 손길이라도 한 번 받아보고 싶다고 무조건 매달리는 젊은 부부도 눈에 띄었다.
김남수 회장은 장사진을 이룬 채 자신을 둘러싼 기자들에게 "헌법재판관, 복지부장관, 한의사협회 관계자 등에게 직접 참관하고 검증해줄 것을 공개 요청했다"면서 "그분들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앞으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춘천 등에서 국민과 직접 만나는 이런 행사를 계속 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명의' 허준은 뜸과 침을 놓을 줄 몰랐다침구사제도 부활시켜 건강보험 적자해결양방의술 한방의술 통합하면 최고의술외국은 침구사 양성, 한국은 침구사 말살환자진료는 의사의 권리가 아닌 의무행사장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에 적혀 있던 문구였다. 그 중에는 이런 문구도 있었다.
허준은 한약의! 허임은 침구의! 허준은 침구술의 전문가가 아니고, 허임이라는 침뜸의 대가가 조선의 침구의원을 대표한다는 뜻인 듯했다. 현재 한의사가 침구의원이 아니고, 구당 김남수 회장 등 침구사가 침구의원이라는 점을 나타내고자 한 구호였다. 하지만 소설과 드라마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수십 년 동안 만들어진 허준에 대한 허구적 이미지를 바로잡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보였다.
앞서 필자는 첫 기사에서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어느 정사에서도 허준이 침과 뜸을 시술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제 그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소신은 침 놓는 법을 알지 못합니다."선조 37년(1604년) 9월 23일 심야에 어의 허준이 국왕에게 고했던 말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소신즉부지침법(小臣則不知針法)'이라는 일곱 글자로 기록돼 있듯이, 허준이 "침 놓는 법을 알지 못한다"고 고백한 것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이다.
낙양의 지가를 올렸던 <소설 동의보감>과 밤거리를 한산하게 만들었던 전설적 TV 드라마 <허준>에서 그려낸 '허구적 인물' 허준은 침과 뜸으로 멋지게 환자를 고쳤다(<소설 동의보감>의 작가는 허준을 아예 '혜민서 침구과에 근무하는 의원'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과 <미암일기> 등의 정사에 기록된 '실제적 인물' 허준은 결코 침과 뜸으로 환자를 치료하지 않았다.
조선의 의료제도는 세종과 성종 시대를 거치면서 상당한 분업화와 전문화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허준과 허임이 활약했던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는 첩약을 전문으로 다루는 의원과 침구를 전문으로 다루는 침의의 의술 영역이 분명히 구분되었다. 요즘 의약 분업이 철저히 이루어져 있는 것을 연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세종과 성종 연간의 조선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일 정도로 '선진국'이었다는 사실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현실과 괴리된 상상과 판타지가 어느 정도 허용되는 소설이나 드라마라면 모를까 정사에서도 허준이 침과 뜸으로 환자를 치료했다고 생각하거나 주장하는 것은 너무나 황당한 일이다. 요즘의 의료 기준을 적용해서 비유해 본다면, 그것은 마치 약사가 의사처럼 외과수술까지 멋지게 해주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역사인식이 일반 국민은 물론이고 지식인과 전문가들의 뇌리에까지 깊이 침투해 정설처럼 각인돼 있다는 점이다. 소설과 드라마가 만들어낸 이른바 '허준 신화'에서 깨어나지 않는다면 침구 영역를 둘러싼 본질적 의료논쟁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침뜸 놓는 허준의 모습, 허구적 이야기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