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자신문> 주최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2010' 오픈 토크 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한 김철균 청와대 비서관
김시연
6·2지방선거를 계기로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절정에 올랐다. 때마침 SNS에 대한 청와대와 누리꾼의 시각차를 드러내는 상징적 사건이 터졌다.
선거 다음날인 3일 김철균(47) 청와대 뉴미디어홍보비서관의 '트위터 국내 법인' 발언 논란에 이어 6일 누리꾼과 소통하는 '온라인 대변인'에 청와대 출입하던 보수매체 기자를 내정한 것이다.
트위터 '국내 법인'?... "청와대 규제 발상"'청와대가 트위터 규제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은 김철균 비서관 발언은 '왜곡 보도' 논란으로까지 이어지며 트위터에선 뜨거운 논쟁거리였다.
김철균 비서관은 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자신문> 주최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2010' 오픈 토크 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또 한 번의 패러다임 시프트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란 주제로 1시간 남짓 진행된 오픈 토크엔 '트위터 스타'인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와 허진호 인터넷기업협회 회장도 참석했다.
포털 다음 부사장 출신으로 현 정부 내 '트위터 전도사' 역할을 톡톡히 해온 김철균 비서관은 이 자리에서도 주로 정부 기관들의 트위터 활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제 발언은 사회를 맡은 한상기 KAIST 교수가 대담 막바지에 최근 해외에서 논란이 된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화두로 꺼내면서 나왔다.
이에 김 비서관은 프라이버시 문제뿐 아니라 트위터 계정 삭제 정책이 투명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며, 국내 법인이 없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국내 사용자들과 소통할 '브랜치(지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철균 비서관 관련 발언 전문] "난 프라이버시는 둘째고, 트위터 쓰면서 섬뜩섬뜩할 때 많다. 내가 청와대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맘에 안 든다고 내 계정을 삭제하겠다고 노력하는 게 가능하지 않나. 트위터 정책을 보면 언제 어떻게 하면 계정이 삭제되는지 클리어(분명)하지 않다. 우리 (소셜미디어) 플랫폼도 많이 좋아져야겠고, 만약 필요하다면 우리가 많이 쓰는 서비스는 브랜치(지사)가 여기 만들어져 우리 소비자들과 프라이버시 문제를 포함해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문제는 이날
<이데일리> <프레시안>에 이 발언이 보도된 뒤 트위터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청와대 트위터 규제'로 확대 해석된 것이다. 마침 지방선거 트위터 열풍에 위기감을 느낀 청와대가 통제 불가능한 외국 소셜 서비스를 국내 법인을 통해 통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왔다.
이에 앞서 김 비서관이 이날 아침 트위터의 지방선거 영향력 보도를 직접 거론한 뒤 "우리 플랫폼이 아니어서 몇 명이 트위터 쓰는지조차도 파악하기 어려운, 그 안에서 우리 국민이 어제 무슨 얘기를 했는지를 트위터 본사에서 우리보다 훨씬 쉽게 알 수 있는 틀"이라고 우려하며 "사기업 다닐 때는 그런 걱정 안했는데 공무원 되니까 신경 쓰게 된다"라고 언급한 것도 '정부 시각'이란 빌미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