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앞에 선 자들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

은광준 조선왕릉연구소장 <조선왕릉 석물복식> 출간

등록 2010.07.09 09:14수정 2010.07.09 11:04
0
원고료로 응원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석물복식 표지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석물복식 표지민속원
600여 년 전 태조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연 때부터 마지막 순종 때까지 생전 재위시 왕 앞에서 시위(侍衛)하던 문무백관들이 실제 서있는 모습을 그린 <조선왕릉 석물복식(민속원 펴냄)>이 출간됐다.

은광준 조선왕릉연구소장이 30여 년에 걸친 왕릉답사 끝에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지정 1주년 기념으로 출간한 이 책은 미술사를 전공한 저자가 10여 년 전부터 직접 세필화로 그려내 사진으로는 느낄 수 없는 옷의 선과 윤곽이 뚜렷하게 살아있어 조선복식연구에 귀중한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27대의 왕과 왕비의 능은 물론 북한에 있는 제릉과 후릉을 비롯해 회릉(묘), 희릉지, 유릉지, 연산군과 광해군 묘, 5기의 추존왕릉 등 45기 능과 묘의 문·무인석 105점을 총망라해 직접 그려 넣고 실제 사진을 실어 비교하도록 했다. 부록으로 <문무석의 명칭도> <문무석 조견표> <조선왕릉 상설배치도> <조선왕릉 복식용어 해설>에 대한 기록도 일목요연하게 갖추고 있어 귀중한 학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1980년대 초부터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공해로 금속, 석조, 목조문화재의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해 실제 보고 느낀 왕릉의 석조물만이라도 그림으로 남겨야겠다고 마음 먹고 30여 년 동안 조선왕릉을 세밀하게 답사하면서 석물을 촬영하고 표석비음기를 탁본하며 반생을 보냈다.

그리고 사진 촬영이나 컴퓨터 합성만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고 판단하고 10여 년 전부터 더 이상 눈이 나빠지기 전에 작업을 해야겠다고 결심, 직접 펜을 들고 점묘화를 그리기 시작해 105점의 그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저자가 작업에 몰두하는 동안 2009년 유네스코가 조선왕릉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경사가 있었다. 2006년에는 구리시와 구리문화원 주최로 '조선왕릉 학술대회'를 열고 2008년에는 저자가 소장하고 있는 탁본들을 소재로 '조선왕조의 문화유산·왕릉금석문대전'을 전시하기도 했다.

은광준 소장은 "아시다시피 조선왕릉은 자연 그대로의 지세(地勢)에 사람의 손길을 약간 더한 것으로 단일왕조의 왕릉으로 조성하고 유지한 지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제례의식이 존속해 계승되고 있는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왕릉"이라며 "특히 능의 상설물 가운데 조각, 공예, 복식, 미술분야의 연구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문·무석의 자료를 후세에 남겨야 한다는 자책감과 사명감으로 시력이 좋았던 40~50대에 전념하여 그렸다. 이런 자료를 남길 수 있는 솜씨를 주신 조물주와 협조해준 선·후배에게 감사한다"며 공을 조물주와 주변에게 돌렸다.


이어 "언뜻 보면 문·무인석이 다 같아 보여도 문인석의 곡령대수(曲領大袖:소매가 넓은 공복(公服)의 형태), 복두(幞頭:공복에 쓰던 관)가 모두 다르고 무인석의 견갑(堅甲:어깨를 보호하는 갑옷의 부속구) 등 각종 갑옷의 형태와 투구의 상모(象毛)의 형태 등은 물론 석상의 얼굴 표정까지 모두 각각 다르다"며 "이제부터는 세밀화에 주변 정경을 컴퓨터로 합성하는 역(逆)작업을 해 실제사진과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드는 중"이라고 밝혔다.

인릉의 문무석 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 능인  인릉의 문인석. 오른쪽이 은광준 소장이 직접그린 점묘화로 사진보다 윤곽과 명암이 선명하다. (왼쪽은 실물 사진)
인릉의 문무석조선 23대 순조와 순원왕후 능인 인릉의 문인석. 오른쪽이 은광준 소장이 직접그린 점묘화로 사진보다 윤곽과 명암이 선명하다. (왼쪽은 실물 사진)

이 책을 추천한 정종수 고궁박물과장은 "2009년 말쯤 저자가 내 방에 찾아와 내민 한 장의 세필화를 보는 순간 숨이 멎는 느낌이었다"며 "은 선생은 미친 사람이다. 이런 일은 미친 사람이 아니면 하기 힘든 일이다. 세밀한 점묘화로 그린 그림은 오랜 세월로 마모된 부분까지 선이나 점으로 살려낸 완벽 그 자체로 이 책은 세상에 단 한권밖에 없는 책"이라고 감탄했다.


류희경 한국복식문화연구원장(전 이화여대 교수)도 "각 석상의 특성을 정학하게 묘사한 세밀화는 상상하기 어려운 인고의 노력과 시간의 결과물로 그 섬세한 솜씨에 감탄을 금할 수 없으며 조선복식사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고 평가했다.

조선태조고황제의 건원릉 등 17위의 능이 있는 조선왕조 최대의 왕릉군 동구릉 인근에 '조선왕릉박물관'을 건립해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들을 전시하는 것이 "학자로서 마지막 소원"이라고 밝힌 은광준 조선왕릉연구소장.

그는 1944년 평북의주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공예학부에서 미술사를 전공하고 1973년부터 2006년까지 세종대학교박물관에서 재직하고 현재 구리문화원전문위원과 연천선사박물관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조선왕릉석물지(朝鮮王陵石物誌), 한국의 석조문화, 조선왕릉금석문대전(朝鮮王陵金石文大典), 조선왕릉석물복식 등이 있다.

 조선왕릉석물복식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은광준 조선왕릉연구소장
조선왕릉석물복식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은광준 조선왕릉연구소장송영한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구리넷(www.gurinet.org)에도 실렸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구리넷(www.gurinet.org)에도 실렸습니다.
#은광준 #조선왕릉 #송영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2. 2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5. 5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