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2014년 인천 아시아 경기대회 주경기장 조감도. 2014년까지 인천시의 지방세 수입 총증가액은 7588억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인천시는 아시안게임과 인천지하철2호선 사업비로 시비와 지방채 발행을 포함해 4조 6743억원의 재원을 마련해야한다.
출처ㆍ인천시
부산 아시안게임 국비 60%, 인천은 고작 20% 국비 확보계획 또한 차질을 빚고 있어 인천시를 더욱 난처하게 만들고 있다. 실제로 시가 주요 현안사업에 대해 요청한 국비지원액이 무더기로 삭감돼 신청한 국고보조금 2조 784억 원 가운데 6230억 원이 줄어든 1조 5225억 원(73%)만 확정됐다.
이중 도시철도2호선 사업을 위한 신청액이 85%를 넘겼을 뿐 아시안게임 개최를 위한 경기장 건설비는 1245억 원을 신청했으나 1000억 원만 반영됐다.
인천이 아시안게임을 개최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약 4조 7768억 원 규모다. 이중 국비는 12.3%인 5912억 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3조 7603억 원은, 시비의 대부분을 아시안게임에 쏟아 붓든, 민간자본사업으로 추진하든, 빚을 내든, 시가 책임져야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인천참여예산네트워크 신규철 운영위원은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비교했을 때 정부의 차별은 심각하다, 정부는 대회 4년을 앞두고 부산이 신청한 국비 중 60.4%를 지원했지만, 인천은 신청한 국비 3623억원 가운데 고작 24.5%인 888억원만 지원받았다, 또 도시철도2호선 건설은 성공적인 아시안게임 개최를 위해 2014년 개통해야하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신규철 운영위원은 상황이 이럼에도 아시안게임과 관련해 시와 시민, 시민사회, 정치권에 합리적인 논의가 실종된 점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구 주경기장 문제만 이슈가 되고 있을 뿐 50개 경기장(=신설 19개, 기존 10개, 민간시설 13개, 인접도시 8개) 등 대회에 필요한 총4조 7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재정 압박과 '도시철도2호선' 개통을 2014년으로 앞당기기 위해 필요한 별도 재원 6000억 원을 마련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는 논의가 없다. 인천시민들은 그 부채를 떠안을 각오가 돼있는가? 시가 부도나도록 시민사회와 정치권은 가만히 보고만 있을 것인가?"라고 되물었다.
허울뿐인 '경제효과' 망상에서 벗어나야 인천시는 그동안 아시안게임을 통한 생산 유발효과가 10조 6000억 원이고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4조 4000억 원이며 고용 유발효과가 20만 1000명에 이른다고 주창했다.
시는 이 같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아시안게임 개최 당위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부산시가 아시안게임 개최에 필요한 천문학적인 재정을 지방재정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지방채 발행으로 충당해 어려움을 겪은 사실은 인천에게 많은 시사점을 남긴다.
참여예산센터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02년 대회를 앞두고 부산시의 1999년 말 부채는 2조 2664억 원으로 늘어났고, 이는 부산시 재정의 54.4%를 차지했다. 이중 아시안게임 준비 등 특별회계가 1조 2622억 원에 달했다. 아시안게임을 치르고 나니 빚은 2조 4000억 원으로 늘었다. 결국 부산은 2조 원에 달하는 '지하철 건설과 운영 부채'를 국가에 떠넘겼다.
참여예산센터 박준복 소장은 "2010년 12월 21일 방영된 MBC PD수첩 '얼굴 없는 경제효과 뻥튀기 논란'은 대규모 경제효과의 허구를 보여줬다. 국내 대표적인 연구기관들이 G20, 김연아 금메달 효과, 한미 FTA 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제효과들이 하나같이 의미를 부여할만한 내용들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한 뒤 "이러한 분석들에 대해 김광수 연구소는 '경제효과 분석은 의미가 없다'로 규정했다. 2011년은 인천시가 아시안게임이 끝나고 빚더미에 앉을지, 아니면 반환을 해서라도 살아남아야할지, 인천시민과 정치권이 신중한 판단과 대안을 모색하는 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아시안게임 '빚더미', 2011년 인천정계 '뇌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