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의 지수당은 또 다른 멋을 연출하다

세 개의 연못이 있었던 정자를 그려보다

등록 2011.01.15 15:21수정 2011.01.15 15:21
0
원고료로 응원
지수당 남한산성 내에 자리하고 있는 지수당
지수당남한산성 내에 자리하고 있는 지수당하주성
▲ 지수당 남한산성 내에 자리하고 있는 지수당 ⓒ 하주성

 

경기도 광주시에 소재한 남한산성 안으로 들어가면, 동문을 지나 조금 위편 좌측으로 정자가 서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 정자를 '지수당'이라고 하며, 현재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이 지수당은 삼면이 연못으로 되어 있어, ㄷ 자형의 연못이 정자를 둘러쌓고 있는 형태이다.

 

이 지수당이 서 있는 연못 위쪽에는 또 하나의 연못이 있다. 중앙에 인공섬을 만들어 놓은 이 연못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또 하나의 연못이 더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2개만 남아있다. 이 지수당은 조선조 현종 13년인 1672년, 부윤 이세화가 건립하였다고 전해진다.

 

지수당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4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지수당
지수당경기도문화재자료 제14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지수당하주성
▲ 지수당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4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지수당 ⓒ 하주성

지수당 지수당은 조선조 현종 13년인 1672년, 부윤 이세화가 건립하였다
지수당지수당은 조선조 현종 13년인 1672년, 부윤 이세화가 건립하였다하주성
▲ 지수당 지수당은 조선조 현종 13년인 1672년, 부윤 이세화가 건립하였다 ⓒ 하주성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물

 

남한산성은 지형이 서쪽이 높다. 그래서 성안의 모든 물은 동문인 좌익문 옆에 있는 수문으로 흘러 동쪽으로 흘러 내려간다. 광주에서 남한산성으로 오르는 동쪽에 아름다운 계곡이 형성이 되어 있는 것도, 이렇게 동쪽으로 물이 흘러가기 때문이다. 이 지수당의 위편에 있는 연못에서 지수당 앞으로 물이 흘러 들어오는 것도, 지수당이 서 있는 ㄷ자 형태의 연못이 서쪽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수당의 연못은 땅을 깊이 파고 축대를 쌓아 조성을 하였다. 인공으로 연못을 만들고 그 한편에 정자를 지은 특이한 형태이다. 한 겨울에 찾는 정자의 모습은 어떠할까? 지난 1월 3일 찾아간 지수당 주변에는 눈이 쌓여있다. 연못의 물은 얼어붙었고, 정자 안 누마루에도 한편에 눈이 쌓여 있다.

 

서편연못 세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하는 지수당. 현재 지수당 서편에 있는 연못이다
서편연못세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하는 지수당. 현재 지수당 서편에 있는 연못이다하주성
▲ 서편연못 세개의 연못이 있었다고 하는 지수당. 현재 지수당 서편에 있는 연못이다 ⓒ 하주성

물줄기 지수당 위편에 있는 서쪽 연못의 물이 지수당이 있는 연못으로 흘러든다
물줄기지수당 위편에 있는 서쪽 연못의 물이 지수당이 있는 연못으로 흘러든다하주성
▲ 물줄기 지수당 위편에 있는 서쪽 연못의 물이 지수당이 있는 연못으로 흘러든다 ⓒ 하주성

 

지수당 동편 입구 쪽에는 커다란 비가 서 있다. 부윤 이세화의 송덕비라고 한다. 정자 안으로 들어갈 수 없도록 막아놓았다. 아무래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남한산성이고, 정자가 평지에 자리하다 보니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보존하기가 어렵다는 생각이다. 정자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니기에, 정자 주변으로만 돌아보아도 지수당을 느끼기에는 어렵지가 않다.

 

눈 쌓인 지수당, 또 다른 멋이

 

지수당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매몰이 되었던 것을, 근래에 고증을 통해서 다시 복원한 것이다. 지수당은 그렇게 화려한 정자는 아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남한산성 내에 상권이 형성되지 않고, 주변에 세 개의 연못이 더 있었다고 하면 그 모습은 사뭇 다를 것이라는 생각이다.

 

송덕비 지수당 동편에 세운 부윤 이세화의 송덕비
송덕비지수당 동편에 세운 부윤 이세화의 송덕비하주성
▲ 송덕비 지수당 동편에 세운 부윤 이세화의 송덕비 ⓒ 하주성

정자 지수당은 네모난 주추 위에 네모난 기둥을 세웠다
정자지수당은 네모난 주추 위에 네모난 기둥을 세웠다하주성
▲ 정자 지수당은 네모난 주추 위에 네모난 기둥을 세웠다 ⓒ 하주성

 

정자는 연못의 한 면을 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그 위에 낮은 기단을 놓고 정자를 세웠다. 정자 주변에는 낮은 난간을 두르고, 동, 남, 북쪽으로는 댓돌을 놓고 입구를 내었다. 주초석은 네모난 돌을 사용했으며, 사각형의 기둥을 세웠다.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집으로 마련을 한 지수당은 그저 편안한 마음으로 다가설 수가 있다.

 

멀리 떨어져 지수당을 바라본다. 아마도 주변이 이렇게 변하지 않았을 당시 지수당을 바라다보았다면, 그 누구라서 글 한 수 적지 않았을까? 그저 평범한 정자이긴 하지만, 당시를 돌이켜보면 꽤나 운치 있는 정자였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더구나 군영이 있는 산성 안에 이런 정자가 있었다면, 그 정자가 군사들에게 주는 감흥은 색다른 것이었지 않았을까?

 

지수당 서편을 제외한 삼면에 입구를 내고, 낮은 난간을 둘렀다
지수당서편을 제외한 삼면에 입구를 내고, 낮은 난간을 둘렀다하주성
▲ 지수당 서편을 제외한 삼면에 입구를 내고, 낮은 난간을 둘렀다 ⓒ 하주성

겨울정자 한 겨울에 보는 지수당의 풍취는 남다르다
겨울정자한 겨울에 보는 지수당의 풍취는 남다르다하주성
▲ 겨울정자 한 겨울에 보는 지수당의 풍취는 남다르다 ⓒ 하주성

 

부윤 이세화는 멋을 아시는 분이었을 것이다. 삼전도의 굴욕으로 남한산성의 치욕이 채 가시기도 전인, 30여 년이 지난 후에 이런 정자를 지었다는 것도 의미가 깊다. 아마도 이런 지수당을 건립한 것도, 그런 아픔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혼자 이런저런 말도 안 되는 생각을 하면서 눈길을 걸어본다. '뽀드득' 소리를 내며 밟히는 눈의 감촉이 좋다. 정자는 사시사철 색다른 맛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그래서 한 겨울에도 정자를 찾아 나서기도 하지만.

2011.01.15 15:21ⓒ 2011 OhmyNews
#지수당 #남한산성 #문화재자료 #광주 #이세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2. 2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3. 3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4. 4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구글 내부에서 감지된 이상한 분위기... 한쪽에선 '심각한 경고'
  5. 5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윤석열 정부가 싫어한 영화... 시민들 후원금이 향한 곳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