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과 연대활동하는 청소노동자한 고려대 학생이 휴게실에서 청소노동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장은실
대학 새내기 시절 '단 하루만이라도'라는 학생회 행사에 참여한 적이 있다. 단과대 학생회가 '단 하루만이라도' 학내 청소노동자들의 삶을 체험해보자는 취지로 기획한 행사였다.
새벽 5시에 눈을 떠 6시부터 일을 시작했다. 강의실마다 책걸상을 뒤로 밀어놓고, 윤이 나도록 쓸고 닦았다. 복도, 계단, 화장실, 교수연구실까지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 식사시간에는 청소노동자들과 함께 밥을 지어먹으며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최저임금을 겨우 받는다는 말에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당시 철부지였던 기자는 그 때를 계기로 '이런 분들의 이야기를 사회에 널리 알리는 언론인이 돼야겠다'고 결심했다.
청소노동자들에게 가장 절박한 것은 휴게실-식사 지원그 꿈은 최근 현실이 됐다. 올 1월부터 <오마이뉴스>에서 인턴기자로 활동하면서 서울시내 28개 대학 청소노동자의 실태를 취재하게 된 것이다.
홍익대 사건이 계기였다. 사건이 커져서 많은 대학에서 청소노동자에 관한 정보를 잘 제공하지 않았다. 심지어 언성을 높이던 담당자도 있었다. 어느 대학의 시설관리 담당자는 "우리는 홍대랑 다르다"라며 "알아서 하고 있는데 왜 알려고 하느냐?"고 짜증을 냈다.
많은 용역업체도 답변을 회피했다. 한 용역업체 담당자는 나중에 다시 통화하자고 말해놓고서 결국 연락이 닿지 않았다. 하지만 몇몇 대학은 자체적으로도 조사하고 있다며 추후 28개 대학 자료가 완성되면 보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학교나 업체에서 답변을 회피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청소노동자들과 직영으로 계약을 맺고 있다며 자세한 정보 제공을 거부한 어느 대학은, 취재 결과 6개월마다 계약서를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월급명세서를 지급하지 않기도 했다. 한 청소노동자의 말에 따르면 30명이 넘는 노동자들에게 단 3장의 월급명세서를 돌려보도록 한 뒤 다시 수거해 갔다.
'휴게실'과 '식사'도 시급히 개선돼야 할 점으로 꼽혔다. 휴게공간이 아무리 넓더라도 여러 사람이 이용할 경우 1인당 1평 이상의 휴식공간을 확보하기란 거의 불가능해 보였다. 34명이 한 휴게실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힌 청소노동자는 지난 20일 기자와 만나서 "한 번은 방귀를 잘못 뀌었다가 무식한 여편네 소리를 듣고 얼마나 속상했는지 모른다"고 어려운 처지를 토로했다.
28개 대학 중 어떤 형태로든 식사지원을 하는 곳은 13곳으로 절반을 넘지 못했다. 식사지원이 없더라도 취사를 허용해 주는 대학은 그렇지 않은 대학에 비해 사정이 좀 나았다. 이 경우 노동자들 끼리 회비를 걷어 쌀을 공동으로 구매하고, 각자 부식을 가져와 비교적 저렴하게 식사를 해결하고 있었다.
하지만 식대 지원이 없고, 취사가 불가능한 경우 도시락을 싸오거나 식사를 사먹을 수밖에 없었다. 24일에 만난 한 청소노동자는 "청소하는 건물 내에 비치된 학생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도시락을 데운다"고 말했다. 난로에 도시락을 데워먹는다고 답한 청소노동자도 있었다. 전자레인지나 난로마저 없으면 차가운 밥을 먹을 수밖에 없는 것이 이들의 처지다.
식사를 사먹는 이들은 대부분 남성 청소노동자였다. 이 경우 한 끼에 최소 4000원만 책정해도 20일이면 약 8만원이 든다. 즉, 한 달 임금의 약 10%를 식사비로 지출하게 되는 셈이다. 식사지원도 없고, 취사도 불가능한 대학의 어느 청소노동자는 "휴게실에서 몰래 라면을 끓여 끼니를 때우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