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창군 북상면소재지에서 전북 무주 방향으로 가는 길로 접어들면 송계사로 가는 길이다. 이 길을 따라 2km 정도가면 도로변에 삼층석탑 한 기가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탑불'이라고 불리는 마을로부터, 약 200m쯤 떨어진 옛 절터에 위치한 탑이다. 아마도 탑불이란 마을의 이름도, 이 탑과 절터로 인해 붙여진 것이란 생각이다.
현재 절터는 대부분 논밭 등의 경작지로 변해, 탑이 있는 절의 옛 규모를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그 절에 대한 내력을 전해주는 자료도 없어, 이 탑이 어느 절의 것이었는지, 어느 시대에 조성한 것인지조차 자세하게 알 수가 없다. 다만 석탑의 형태로 보아 통일신라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할 뿐이다.
통일신라 석탑을 충실히 따른 모형
5월 20일(금) 잠시 틈을 내어 달려간 답사길. 전북 장수, 무주를 고쳐 경남 거창으로 접어들었다. 길을 정하지 않고 무작정 돌아다니다가 만나는 문화재는 사람을 들뜨게 만든다. 갈계리 석탑도 그 중 하나이다. 차를 달리며 주변을 돌아보는데, '갈계리 삼층석탑'이란 문화재 안내판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높은 보호철책 안에 서 있는 갈계리 삼층석탑은, 처음 만나는 순간 '참으로 반듯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석탑은 사각형으로 된 이중의 기단을 두고 있어, 통일신라시대의 일반 석탑 양식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탑의 구성으로 볼 때 간략화 된 조성 기법은,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변화하는 석탑의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몸돌에 비해 넓은 지붕돌이 불안정해
받침대 부분인 상하 기단은 모두 모서리기둥인 우주와 함께, 중앙의 받침기둥인 탱주를 새겼다. 몸돌인 탑신과 받침을 이어주는 상대갑석은 경사가 별로 없는 한 장의 돌로 조성하였다. 위 기단은 판석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아래기단은 한 장의 넓은 돌로 조성을 하였다. 몸돌에는 모서리기둥인 우주를 양편에 조각했을 뿐, 그밖에 별다른 조각은 없다.
지붕돌인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각각 4단이며, 추녀의 낙수면은 낮게 조성하여 경사가 심하지 않다. 그러나 모서리 부분인 처마의 끝자락이 너무 치켜 올려져 있어, 과장이 심한 편이다. 하지만 그 과장이 오히려 이 탑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렇게 몸돌에 비해 넓은 옥개석의 처마가 위로 치켜 올라가, 조금은 불안한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상륜부가 남아있지 않아 원래의 모습은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받침부분인 기단이 큰 데 비해, 몸돌과 지붕돌이 왜소해 보여 전체적인 조형미는 조금 뒤떨어진다. 지붕돌인 옥개석 역시 너무나 두터워 조금은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대개 고려시대로 넘어간 후 보이는 조형양식이다.
그래도 내 눈에는 아름답게 보여
하지만 그렇게 불안정한 가운데 위로 치켜진 옥개석의 처마가 있어, 오히려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 것은 나만 느끼는 것인지. 탑의 전문가적인 소견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장인의 마음을 읽고 싶은 것이 내 생각이다. 그리 크지 않은 삼층석탑을 조성하면서, 나름대로의 정성을 다한 마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단부와 몸돌의 밑에는 위를 조금씩 층을 내어 돋아놓았다. 그런 정성을 들일 수 있었다는 것은, 이 탑을 조성한 장인의 마음이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경남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갈계리 삼층석탑. 이 탑을 만나면서 내가 처음으로 한 말은 '대박이다'였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11.05.23 11:05 | ⓒ 2011 OhmyNews |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