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나무 자른 부부가 이유도 없이 죽고 말았지"

거창군 남상면 상매마을을 찾아가다

등록 2011.06.12 11:23수정 2011.06.12 11:23
0
원고료로 응원
 

a 당산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상매마을 입구에 서 있는 당산

당산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상매마을 입구에 서 있는 당산 ⓒ 하주성

▲ 당산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상매마을 입구에 서 있는 당산 ⓒ 하주성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마을 안으로 들어갈 때가 있다. 마을에 옛 민속자료 등이 전해지고 있다고 하는 곳을 찾아서이다. 아직도 마을에서 지성으로 당제 등을 모시고 있는 곳이 한두 곳이 아니고 보면, 나로서는 그렇게 전해지는 우리 것이 고맙기 한이 없다.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는 그런 면에서는 정말 몇 개의 지정 문화재보다 더 값진 마을이란 생각이다.  

무촌리는 조선시대 남상면의 서남쪽에 자리했던, 고천방에 있었던 '무촌역'을 중심으로 한 마을들이다. 그 인근을 '무촌역리'라 한데서 마을 이름이 생겼다. 예전에는 역이 있는 곳에는 파발마를 두고, 원 등을 두어 공무를 보는 관원들이 말을 바꿔타기도 하고 쉬기도 했다. 아마도 이 무촌리에 그런 역이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다는 것이다.

 

a 정자 상매마을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을주민들

정자 상매마을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을주민들 ⓒ 하주성

▲ 정자 상매마을 이야기를 들려주는 마을주민들 ⓒ 하주성

 

네 곳의 당(堂)이 마을을 보호하고 있어

 

현재 무촌리는 상매 · 하매 · 무촌 · 인평 · 성지 · 지하 등 여섯 개의 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행정리이다. 길가에 있는 무촌마을에서 연수사 방향으로 내를 건너 들어가다가 보면 '하매'마을이 있고, 그 안으로 '상매'마을이 나온다. 매산이란 이름은 이곳이 '매화낙지형'의 명당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

 

도로변 우측에 자리하고 있는 상매마을. 마을 앞으로는 내가 흐르고 있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네 그루의 소나무가 탑을 에워 쌓듯 길가에 서 있다. 누석탑으로 쌓은 이 탑에서 내를 건너면 바위 암벽 위에 또 하나의 돌탑이 있다. 소나무 밑에 있는 탑은 '아들탑'이고 내를 건너 바위 위에 올린 탑은 '며느리탑'이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정자에 마을 주민들이 모여 한담을 나누고 있다. 아직도 마을에서 당제를 지내느냐고 물었더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지내고 있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예전과 같지는 않아도, 정월 대보름이 되면 네 곳에 있는 당을 돌면서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a 할아버지당 마을 위편 계곡 위에 자리한 할아버지 당

할아버지당 마을 위편 계곡 위에 자리한 할아버지 당 ⓒ 하주성

▲ 할아버지당 마을 위편 계곡 위에 자리한 할아버지 당 ⓒ 하주성

a 할머니당 마을 위편 산자락에 있는 할머니당. 금줄이 쳐 있어 쉽게 찾을 수가 있다

할머니당 마을 위편 산자락에 있는 할머니당. 금줄이 쳐 있어 쉽게 찾을 수가 있다 ⓒ 하주성

▲ 할머니당 마을 위편 산자락에 있는 할머니당. 금줄이 쳐 있어 쉽게 찾을 수가 있다 ⓒ 하주성

 

오랜 세월 전해진 전통, 그대로 남은 풍습

경남 거창군에는 아직 마을에 옛 풍습인 당제를 지내는 곳이 많이 남아 있다. 일제의 문화말살정책과 새마을운동, 그리고 종교적인 갈등으로 인해 많은 곳이 마을에서 내려오는 풍습을 버렸는데도, 이곳은 옛 전통을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 분들에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물어본다. 혹 마을에 재미있는 일이라도 있지 않을까 해서이다. 상매마을에는 모두 네 곳에 당이 있다고 한다. 윗당산과 아랫당산으로 구분이 되는 네 곳의 당은, 마을 위편으로 올라가 암벽 밑으로 맑은 물이 마을로 흘러드는 곳에 할아버지 당이 있다. 그리고 마을이 끝나는 곳 산자락에 할머니당이 자리한다.

 

a 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내. 가뭄이 들면 큰 애기들이 키를 쓰고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비를 불렀다고 한다

마을 앞으로 흐르는 내. 가뭄이 들면 큰 애기들이 키를 쓰고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비를 불렀다고 한다 ⓒ 하주성

▲ 내 마을 앞으로 흐르는 내. 가뭄이 들면 큰 애기들이 키를 쓰고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비를 불렀다고 한다 ⓒ 하주성

 

당에는 모두 정월에 제를 지내면서 금줄을 처 놓아 쉽게 구분이 된다. 마을주민들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가 하고 물어보았다.

 

"이 마을은 비가 안 오면 앞내에서 키를 뒤집어쓰고 뛰어다녔어"

"누가요?"

"마을 큰 애기들이."

"그러면 비가 왔나요?"

"하모. 오고 말고."

 

농사철에 가뭄이 들어 비가 오지 않으면 집집마다 밀가루를 걷어 빵을 한다는 것이다. 그 빵을 마을에 사는 큰 애기들에게 나누어주고 키를 하나씩 뒤집어쓰게 한단다. 그리고 마을 앞에 있는 내로 나가, 돌로 만든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비를 오라고 하면 비가 온다는 것이다. 듣기만 해도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내를 바라보며 괜한 웃음을 짓는다. 그 광경이 떠올라서이다.

 

a 아랫당 상매마을 입구 길가에 서 있는 당산. 아들당이라고 한다

아랫당 상매마을 입구 길가에 서 있는 당산. 아들당이라고 한다 ⓒ 하주성

▲ 아랫당 상매마을 입구 길가에 서 있는 당산. 아들당이라고 한다 ⓒ 하주성

a 며느리당 아들 당에서 내를 건너 암벽 위에 쌓은 당산

며느리당 아들 당에서 내를 건너 암벽 위에 쌓은 당산 ⓒ 하주성

▲ 며느리당 아들 당에서 내를 건너 암벽 위에 쌓은 당산 ⓒ 하주성

 

영험한 당산나무를 자르고 나더니...

 

무촌리의 무촌, 상매, 하매는 모두 정월보름날 자정을 기해서 당제를 올린다. 시간상으로는 열나흗날 밤이 되는 것이다. 상매마을에서는 먼저 할아버지당에서 제를 지낸 후, 할머니당을 거쳐 아랫당으로 내려온다는 것이다. 자정에 시작한 당제가 아랫당으로 오는 시간은 아침 6시경이라고 한다. 그곳에서 음식을 새로 장만을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 아들당 주변에는 원래 소나무가 다섯 그루가 서 있었지."

"지금은 네 그루뿐이던데요."

"한 그루는 더 컸는데 그 당 옆에 있는 논 주인이 나무그늘이 생겨 농사가 잘 안된다고 잘라버렸어. 그러고 나서 두 부부가 이유도 없이 죽고 말았지."

 

a 뫼 정월 보름에 제를 지낸 후 밥을 한지에 싸 탑 안에 밀러 넣어둔다

정월 보름에 제를 지낸 후 밥을 한지에 싸 탑 안에 밀러 넣어둔다 ⓒ 하주성

▲ 뫼 정월 보름에 제를 지낸 후 밥을 한지에 싸 탑 안에 밀러 넣어둔다 ⓒ 하주성

 

마을주민들은 신령한 당산의 나무를 잘라서 벌을 받았는가보다고 이야기를 한다. 마을 입구와 뒤편을 에워싸고 있는 네 곳의 당산. 아들당에서는 그 자리에서 뫼를 지어, 제를 마치고나면 한지에 싸서 탑 안에 넣어 놓는다고 한다. 내려오는 길에 아들당산의 탑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니, 정말로 탑돌 틈 사이에 한지에 싸인 것이 보인다.

 

아주 오랫동안 마을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모시는 있는 상매마을 당산제. 오늘도 마을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를 한다.

 

"우리 마을에는 아직 한 번도 변고가 일어난 적이 없어"

덧붙이는 글 | 상매마을 당산제는 6월 10일에 답사를 하였습니다.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11.06.12 11:23 ⓒ 2011 OhmyNews
덧붙이는 글 상매마을 당산제는 6월 10일에 답사를 하였습니다.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당산제 #상매마을 #거창 #정월보름 #남상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집집마다 붙은 집주인 변경 안내문, 지옥이 시작됐다 집집마다 붙은 집주인 변경 안내문, 지옥이 시작됐다
  2. 2 무능의 끝판왕 대통령, 탄핵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이유 무능의 끝판왕 대통령, 탄핵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이유
  3. 3 극우적 주장 득세하는 남자 고등학교 교실 풍경 극우적 주장 득세하는 남자 고등학교 교실 풍경
  4. 4 제주 해수욕장 '평상 갑질', 이 정도일줄 몰랐습니다 제주 해수욕장 '평상 갑질', 이 정도일줄 몰랐습니다
  5. 5 NYT "역사에 남을 이미지", SNS에선 "대선 끝났다" NYT "역사에 남을 이미지", SNS에선 "대선 끝났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