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직후 정치범 처형 모습
미국립문서보관소
여기 18장의 사진이 있다. 찍힌 지 50년 만에 세상에 빛을 본 사진들은 이후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에는 그동안 누구도 입밖에 내지 않던 대한민국 역사의 치부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그럴리 없다고 부인하는 이들에게 사진은 말했다. 이 사진이 조작된 거짓이란 말이냐고.
2000년 1월 5일 <한국일보>에는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서 비밀 해제된 '한국의 정치범 처형'이라는 문서와 함께 18장의 사진이 실렸다. 제주4·3사건을 추적해 온 재미교포 이도영 박사가 발굴, 공개한 자료들이었다. 사진은 충격적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대전 산내에서 있었던 대전형무소 민간인 학살 사건을 한 컷 한 컷 기록하고 있었다. 이후 사진 속 현장인 대전 산내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에 대한 진실 규명 요구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50년 만에 봉인 풀린 사진 18장, 진실을 말하다진실화해위원회에도 2005년 12월 설립된 이후 희생자 유가족들의 피해 신청이 빗발쳤다. 그 결과 대전형무소뿐 아니라 전국형무소에 수감된 정치·사상범들이 한국전쟁 초기에 학살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진실규명은 쉽지 않았다. 사건의 성격상 유족들은 학살 현장에 접근할 수 없어 학살 과정을 목격할 수 없었고, 다만 정치·사상범들이 총살됐다는 소문을 들은 것이 전부였다.
그래서 정부의 공식 기록인 <한국교정사>(법무부, 1987)에 관련 내용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그러나 <한국교정사>는 대전형무소와 관련해 "전세가 거듭 악화되자 7월 14일, 15일에 걸쳐 재소자를 대구로 이송하고"라고만 나와 있을 뿐이었다. 그럼 이 사진들은 무엇인가? 사진들이 조작된 거짓이라는 말인가?
그러나 사진이 조작이 아님을 우리는 알고 있었다. 영국신문 'Daily Worker'지 기자 앨런 위닝턴(Alan Winnington)의 1950년 8월 9일자 기사와 그가 1950년 발간한 소책자 <나는 한국에서 진실을 목격했다(I Saw the Truth in Korea)>에서, 필립 딘(Philip Deane)의 책 <나는 한국의 전쟁포로였다(I Was A Captive in Korea)>(Norton, New York, 1953)에서, 그리고 노가원의 <대전형무소 4천3백명 학살사건>(1992.2,<말>)과 심규상(현 <오마이뉴스> 기자)의 <진상보고: 사진과 증언으로 재연한 대전형무소 학살사건>(2002.2 <말>) 기사 등이 익히 말하고 있지 않았던가.
이에 진실위 조사관들은 18장의 사진들과 위의 기사, 책을 근거로 당시 대전형무소에 근무했던 형무관(간수)과 사진 속 인물들로 추정되는 당시 대전 경찰들, 당시 대전에 주둔했던 헌병들을 찾아다니면서 사건의 전모를, 진실을 캐기 시작했다.
하지만 진실 규명은 쉽지 않았다. 당시 상황을 말해줄 수 있을 만한 이들 중에는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들도 많았다. 당시 정치·사상범 학살에 동원됐거나, 이를 증언해 줄 형무관과 경찰들을 찾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그들에게 진실을 끌어내는 것도 무척 어려웠다.
하지만 그들은 입을 열었다. "그래도, 죽기 전에 꼭 진실을 말해야 이 무거운 짐을 벗을 수 있을 것 같다"며 어렵게 당시 상황을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들이 힘겹게 하나 둘씩 꺼내놓은 진실은 너무 끔찍해, 듣는 조사관들도 감당하기가 몹시 힘들었을 정도였다. 미군 문서의 사진과 그렇게 어렵게 얻어낸 당시 현장에 있었던 증언들을 통해 1950년 학살의 진실을 대전형무소 학살을 중심으로 재구성해 보자.
형무소 사람들을 기다리던 산내골 구덩이 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