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스키돔' 재개발은 황령산 두 번 절단내는 것"

2008년 영업 중단, 부산시 활성화 추진... 환경연합 "개발업자 배만 불리는 일"

등록 2011.07.27 09:04수정 2011.07.27 09:04
0
원고료로 응원
부산광역시가 영업 중단된 '황령산 스키돔'(인공눈썰매장)을 활성화하기로 하자 환경단체는 "황령산을 두 번 절단낸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25일 '황령산 스키돔 정상화를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에 부산환경연합은 26일 오후 성명서를 통해 비난하고 나섰다.

황령산 스키돔은 2007년 8월 준공됐다가 2008년 6월 시행업자의 부도로 영업 중단된 상태다. 사업은 1990년부터 추진됐고, 공사는 1992년부터 벌어졌다. 당시부터 환경단체는 부산 도심 한가운데 있는 황령산의 허리를 자른다며 반발했던 것.

20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황령산 스키돔을 부산시가 다시 활성화에 논란이 일고 있다.

분양자 측 "잔여부지 개발 필요"... 부산시 "접근성 확보"

부산시는 공청회 뒤 낸 자료를 통해 "시민단체에서는 황령산 스키돔 잔여부지 개발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의견을 제시했고, 분양자 측에서는 스키돔이 정상화되어 분양자들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잔여부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또 부산시는 "이날 공청회에서는 주변개발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망시설, 청소년체험시설, 소규모 문화시설의 도입하자는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며 "이날 지적된 주요사항 중의 하나인 접근성 개선을 위해 부산시는 필요하다면 황령산 스키돔 부지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도로의 선형 개량, 추가 접근로 개설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산환경연합 "황령산 두번 절단 내는 것... 개발업자 배만 불려"


부산환경연합은 "부산시의 황령산 두 번 절단 내는 '스키돔 활성화'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황령산은 부산시의 무분별한 허가와 허술한 행정 그리고 인공 눈썰매장으로 한몫 챙기려 했던 장사치들로 초록 살갗이 벗겨지고 허리가 잘려나갔다"며 "황령산 스키돔은 말 그대로 파괴형 개발사업의 전형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상화 방안으로 내놓은 대책이 19회에 걸친 공매에도 불구하고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18만여평의 잔여부지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자연훼손을 최소화하여 개발방향을 제시한다고 하지만, 잔여부지마저 개발한다면 황령산을 토막내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덧붙였다.


부산환경연합은 "부산시는 무책임한 '민자사업 기대기' 관행과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무분별하게 개발행위를 허가하는 정책은 이제 그만두어야 한다"며 "더 이상 부산지역의 시민사회는 시민의 공공자산을 팔아서 개발업자의 배를 채우는 뻔뻔한 부산시의 행정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리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개발업자 배만 불리는 황령산 스키돔 재개발의 철회를 엄중히 경고한다"며 "투자자를 찾기 위해 잔여 부지를 더 개발해야한다는 유치한 발상은 접어두고 새로운 시각으로 황령산을 바라보아야 한다. 인구대비 녹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부산에서 생태적 공간으로 황령산을 보존하는 것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다"고 제시했다.

부산환경연합은 "황령산이라는 시민의 자연자산을 팔아서 업자의 막대한 개발이익을 보장하는 파렴치한 난개발사업을 당장 중단할 것"과 "부산시는 황령산을 부산시민의 생태공간으로 복원할 것"을 촉구했다.
#부산광역시 #황령산 #스키돔 #부산환경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5. 5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