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왕릉 전경왕릉 바로 위 약간 왼켠으로 보이는 낮은 봉우리가 수로왕이 처음 나타난 구지봉이다. 그 뒤로 이어진 산줄기의 오른쪽 봉우리가 분산 정상으로, 사진에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되는 분산산성 성곽이 일부 드러나 보인다.
정만진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해 지역에는 수로왕이 오기 이전까지 아직 나라가 없었다. 고대 사회이므로 나라가 없었다는 것은 곧 왕이 없었다는 뜻이다. 왕이 없으니 당연히 신하도 있을 리 없었다. 그래서 삼국유사는 '천지(天地)가 처음 열린 이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이 없었다. 그리고 군신(君臣)의 칭호도 없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 무렵 김해 일대는 아홉 명의 '추장(酋長)들이 백성들을 통솔'했다. 인구로 본다면 '모두 100호(戶)로 7만 5000명'이 살았다. '사람들은 거의 산과 들에 모여서 살았으며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 곡식을 먹었다.'
아홉 명의 추장을 사람들은 각각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이라 불렀다. 그렇게 아홉 추장들의 이름에 모두 干(간)이 들어 있는 것은 결국 '干'이 '추장'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런데 줄기, 등뼈, 몸, 근본 등의 뜻을 가진 干은 신라에서도 '박혁거세 거서간(干)', '눌지왕 마립간(干)' 등에 쓰였다. 물론 최고 지도자를 왕(王)이 아닌 간(干)으로 부른 것은 거서간이나 마립간이 아직 절대적으로 강력한 권력을 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마립간이라는 호칭이 왕으로 바뀌는 것은 22대 임금인 지증왕 4년(303)부터이다. '(지증왕) 四年 冬十月 群臣上言 (중략) 臣等以爲新者德業日新 羅者網羅四方之義 則其爲國號 (중략) 謹上號新羅國王 王從之'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그 증거이다. 한문은 '지증왕 4년 겨울 10월에 신하들이 아뢰기를 (중략) 新은 왕의 업적이 나날이 새롭고 羅는 사방을 망라한다는 뜻이므로 이를(新羅를) 나라의 이름으로 하고 (중략) 신라국 왕이라는 호칭을 (쓰자는 말씀을) 올리니 왕이 이를 따랐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