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경 부산교육감 금품수수 사실에 '자진사퇴' 촉구

스웨덴 출장 때 고가 의류 받아 ... 교육·시민단체·야당 "충격 금할 수 없다"

등록 2012.06.14 10:42수정 2012.06.14 10:42
0
원고료로 응원
a

임혜경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감. ⓒ 윤성효

임혜경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감. ⓒ 윤성효

부산광역시교육청 임혜경 교육감의 금품수수 사실이 드러나면서 교육·시민단체와 야당들이 '민선' 임 교육감의 즉각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임혜경 교육감은 지난해 4월 스웨덴 출장을 하면서 유치원 원장과 유아용 교구업체 사장 부부들과 동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임 교육감은 여행 과정에서 200만원 상당의 의류를 전해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임 교육감은 경찰 수사가 진행되자 1년이 지난 올해 5월 가족을 시켜 의류를 돌려줬다. 임혜경 교육감은 "교구업체와의 유착은 없었다"고 밝히고 있다.

 

"충격을 금할 수 없다"

 

임혜경 교육감의 즉각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14일 성명을 내고 "부산교육계의 수장이 부정부패를 저질렀다는 사실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 임혜경 교육감은 모든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하며, 부산시민들에게 사죄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교육청 감사관실은 받은 금품이 100만 원 이상인 경우 중징계인 파면 또는 해임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을 보더라도 임혜경 교육감은 그 직을 수행하기 부적절하며, 부산시민에게 사죄하고 그 직에서 물러남이 타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경찰수사와 사법처리 여부와는 관계없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 일반 공무원보다 교육공무원은 더 높은 도덕성을 요구받는다"며 "그 수장이 도덕적 흠결이 명확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직책 수행은 불가능하다. 부산교육계의 명예회복을 위해 하루 빨리 결단을 내려줄 것"을 촉구했다.

 

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 "스스로의 말에 책임져야"

 

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도 이날 성명을 내고 "임혜경 교육감은  스스로의 말에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스스로 부끄러운 일이라고 얘기하는 것만으로 임혜경 교육감이 그 자리를 지킨다면 부산교육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아무 것도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라며 "비리를 저지른 교육감의 어떤 말도 어떤 정책도 학생, 학부모, 교사들에게 진정성 있게 다가갈 수 없는 상황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후 수사가 진행되고 법적인 절차도 이뤄지겠지만 이미 교육감 스스로 본인의 비리를 시인한 이상 그 자리를 지키고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지금도 여러 가지 교육감 관련비리가 더 있다는 흉흉한 이야기가 부산교육청 담을 넘어 퍼지고 있다. 우리는 이런 교육청 괴담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랄 뿐"이라고 덧붙였다.

 

민주통합당 부산시당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 솔선수범해야"

 

민주통합당 부산시당은 13일 논평을 통해 "임혜경 교육감은 청렴의무를 솔선수범하지 못했으니,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라도 솔선수범하라"고 촉구했다.

 

민주통합당 시당은 "업체사장과 동행한 부적절한 해외출장, 200만원 상당의 고가의류가 오고간 부산교육계 수장의 비리의혹은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서민들을 허탈하게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육공무원의 청렴의무를 솔선수범하지 못했으니,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라도 솔선수범할 것을 요구한다. 수사당국은 한점의 의혹도 남김없이 철저하게 수사해야 할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부산시 교육청은 업체유착, 금품수수의 썩은 뿌리를 철저히 드러내 싹을 도려내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교조 부산지부 "파면 조치하는 엄중처벌해야"

 

전교조 부산지부는 13일 "임혜경 교육감은 취임 당시부터 '교육공무원의 청렴'을 강조해왔고 금품‧뇌물 수수 교사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서 100만원 이상 금액에 상당하는 금품을 받으면 해임, 파면 조치하는 엄중 처벌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교조 지부는 "안팎으로 '청렴'을 강조하며 '금품비리 교육공무원은 교육할 자격이 없다'는 말을 여러 차례 공언해 온 임혜경 교육감은 청렴도 향상 정책에 대해 책임지고 사퇴해야 마땅하다"며 "현장 교사에게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하면서 교육감 본인에게는 투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 부산교육의 수장으로서 책임 있는 태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부산교육의 수장으로서 금품비리로 부산교육을 부끄럽게 만들고 부산교사들의 자존감을 무너뜨린 임혜경 교육감은 사법처리에 앞서 도덕적 책임을 지고 스스로 교육감 직에서 물러나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임혜경 교육감 #부산광역시교육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4. 4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5. 5 디올백 무혐의, 어느 권익위 고위 공직자의 가상 독백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