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 나무전봇대가 아직도 있었어?"

[골목탐험①] 구한말 나타나 지금도 일부 골목동네에 남아 있어

등록 2012.08.03 21:27수정 2012.08.03 21:27
0
원고료로 응원
골목은 기억박물관이다. 발전이 더딘 탓에, 사람들 관심에서 벗어난 탓에 오래된 풍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간혹 골목을 거닐다 1960, 70년대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낡았다' '고쳐서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시각이 많지만 몇 백년 전 집과 길을 고스란히 간직한 유럽이나 미국의 유서 깊은 도시들을 보면서 감탄하는 우리나라 관광객들을 보면 완전히 수긍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좀 더 애정을 갖고 바라보고 가꾸면 골목은 새롭게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오랫동안 골목을 탐험하면서 발견한 보물들을 여기에 소개한다. - 기자주

a

잘려진 나무전봇대. 지금은 거의 보기 힘들어졌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가장 흔한 게 나무전봇대였다. ⓒ 김대홍


1887년 3월 경복궁 앞 건창궁 앞에 750개 백열등이 점등됐다. 이 땅에서 처음으로 전깃불이 켜진 순간이다. 그와 동시에 전봇대도 이 땅에 모습을 드러낸다.


사진연구가인 정성길 대구 계명대 동산의료원 명예박물관이 소장해온 사진에 그 기록이 남아 있다. 구한말 한국을 다녀간 독일인들이 촬영한 사진인데, 1896년 덕수궁 대안문(현 대한문) 앞엔 나무전봇대가 분명하게 서 있다.

전봇대의 역할이라 하면 전기를 나르는 게 주임무지만 사람들은 시키지 않아도 다양한 쓸모를 찾아냈다.

a

개는 전봇대를 보면 본능처럼 오줌을 눈다. 술을 잔뜩 마신 취객들도 마찬가지다. 이 땅에 전봇대가 들어오면서 개와 취객들에겐 좋은 화장실이 하나 생긴 셈이다. ⓒ 김대홍

그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게 노상방뇨와 구토인 듯하다. 실컷 술을 들이켠 술꾼들은 으레 배설할 곳을 찾아 헤매는데 만만한 곳이 담벼락 아니면 전봇대였다. 일단 눈에 잘 띄었고, 손을 짚을 곳이 있어 좋았다. 오죽하면 뱀술을 팔던 약장수들이 "한 잔 마시면 오줌줄기가 담을 넘고, 두 잔 마시면 전봇대가 부러진다"면서 너스레를 떨었을까.

1923년 10월 28일자 <동아일보>엔 전기를 주제로 다루면서 "전깃불이 있는 곳에 오줌을 누면 안 된다"고 친절히 설명한다. 당시 전봇대나 그 주변에 오줌을 누는 사람이 있었다는 증거다. 비슷한 시기에 개도 전봇대에서 소변을 누기 시작했을 테니 전봇대는 시작과 동시에 화장실의 운명을 타고 났다.

아내가 오늘 무슨 이야기를 쓸 거냐고 해서 '전봇대 이야기'나 써볼까 했더니, 아내가 밥을 먹다가 내게 묻는다.
"여보, 그런데 남자들은 왜 개처럼 전봇대에다 오줌을 누는지 알아요?"
"글쎄? 그럼 여자들은 전봇대에다 오줌을 안 누면 어디다 오줌을 누는데…?"
- <시골목사의 느릿느릿 이야기>(박철 저, 나무생각 펴냄)


전봇대를 취객들이 배설하는 장소로 이용한 게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꽤 오래 됐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 이미 19세기에 전봇대가 등장했고, 1904년에 노상방뇨를 금지하는 법이 만들어졌으니 말이다. 법이 만들어졌을 정도라면 이미 꽤 많은 이들이 길에 소변을 봤다는 것이고, 노상방뇨족들이 보기 좋게 만들어진 전봇대를 못본 채 지나쳤을 리는 만무하니 말이다.

전봇대 기능 중에서 또 역사가 오래된 건 전단지 부착이다. 전봇대는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있는데다가 길어서 높이를 조절하기도 좋았다.

각종 장사꾼들이 제품 판매 목적으로 전봇대를 이용하기도 했지만, 독립운동가들도 전봇대를 애용했다. 그들은 전봇대를 통해 민심을 흔들고 일본 정부를 바쁘게 만들었다.

"일본 각지 군대에 대하여 과격한 인쇄물을 살포하고 또한 북월 방면에서는 사회주의자가 제작한 격렬한 노래를 전신주 등에 첩포한 자가 있는데 범인은 고전시에서 체포하였다는데 연루자가 다수에 달할 모양이라더라." - <동아일보>(1920년 5월 2일)

시간이 지나면 썩는 나무전봇대, 애물단지로 눈총

a

나무전봇대는 썩으면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나 쇠로 바꾸는 작업이 1960, 70년대 활발하게 이뤄졌다. ⓒ 김대홍


이 땅에 전기와 함께 들어온 나무전봇대는 처음엔 큰 환영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눈총을 받게 된다. 나무는 썩는다는 약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썩은 나무는 태풍이나 큰 비에 넘어지기 쉬웠고, 자칫하면 큰 인명피해를 낼 수 있었다. 수리를 위해 전봇대에 올라간 기사가 전봇대와 함께 넘어져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일도 있었다. 대책이 필요했다.

정부에선 콘크리트전봇대를 대안으로 생각했다. 1957년 상공부가 면세대상 품목에 콘크리트전봇대를 넣은 건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였다.

1959년 치안국은 새해 썩은 전봇대를 모두 콘크리트전봇대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드는 예산은 무려 2억9999만환에 이르렀다.

쇠전봇대 또한 나무전봇대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1961년 체신부는 이듬해 나무전봇대를 모두 콘크리트나 쇠전봇대로 바꾸겠다고 방침을 정했다.

정부는 나무전봇대를 튼튼하고 오래 가는 콘크리트나 쇠로 바꾸고 싶어했다. 문제는 돈이었다. 한꺼번에 바꾸는 건 부담이 컸다. 틈 날 때마다 콘크리트나 쇠로 바꿨으나 여전히 대세는 나무전봇대였다.

a

집 가운데 있는 전봇대. 전봇대는 국가 재산이기 때문에 개인이 함부로 자르거나 훼손해선 안된다. 간혹 지붕을 뚫고 나왔거나 집 빈틈이 전봇대가 들어선 곳들이 있다. ⓒ 김대홍


1970년대를 거치며 나무전봇대는 눈에 띄게 사라졌다. 초가와 기와집이 사라지는 것과 맥을 같이 했다. 나무전봇대는 구시대의, 사라져야 할 유물이었다.

1980년대 새롭게 나타난 신도시나 시내 중심가에선 아예 전봇대를 없애기까지 했다. 그렇게 꽤 오랜 세월이 흘렀다.

나무전봇대를 없애려는 시도가 1950년대부터 이어졌으니 벌써 60여 년이다. 이제 드문드문 사람들 발길, 눈길 드문 곳에 나무전봇대가 살아남았다. 나무전봇대가 살아남았다는 건 그 동네가 세상사 변화의 바람에서 한 발 비켜 서 있었다는 증거다.

늑대나 여우가 이 땅에서 사라진 것처럼 나무전봇대가 사라지는 것도 당연한 순서이자 운명이었다. 이미 사람들은 불편하게 여겼고 더 나은 대체물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무전봇대가 늑대나 여우처럼 아예 멸종하지 않은 건 먹이를 찾아 떠돌아다니지 않으니 사람들 눈에 띄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가끔씩 골목길을 다니다 나무전봇대를 보면 참 잘 숨어 있었다는 생각과 함께 그 전봇대를 숨겨준 동네를 같이 생각하게 된다. 어쩌면 나무전봇대처럼 이 동네 또한 사람들 시선에서 많이 떨어져 있었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얼마 전 그리스의 오래된 마을을 소개한 TV 프로그램에서 나무전봇대를 보곤 반가운 마음을 금할 수 없었다. 역사가 꽤 오래 됐다고 하는 그 동네는 관광객들도 찾아오는 관광지였다. 우리나라에선 40~50년만 그대로여도 낡은 동네로 치부되며 재개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데, 유럽은 정반대다.

이제 몇 개 남지 않은 나무전봇대를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은 없는 듯하다. 시장 사회에선 귀하면 가치가 높아지는 것처럼 어느 순간 나무전봇대의 가치에 대해 새롭게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나무전봇대를 품은 동네에 대해서도 다시 평가하는 기회가 오지 않을까

나무전봇대를 본 곳
▲나주시 영산포(2008) ▲부산시 대연동(2011) ▲사천시 구 삼천포(2008) ▲삼척시 도계읍(2009) ▲서울시 노량진동(2008) 녹번동(2009) 본동(2010) 삼선동(2010) 석관동(2008) 성북동(2010) 숭인동(2007) 옥인동(2009) 월계동(2008) 이문동(2008) 이화동(2008) 익선동(2008) 인현동(2009) 전농동(2009) 정릉동(2009) 충신동(2008) 평창동(2008) 필동(2007) 한강로동(2009) 홍은동(2009) 홍제동(2009) 효창동(2008) 흑석동(2010) ▲수원시 수원화성 내(2010) ▲제주도 제주시(2008) ▲창녕군 창녕읍(2012) ▲창원시 구마산(2008) ▲밀양시 삼랑진(2012) ▲충청남도 공주시(2009) ▲파주시 문산읍(2010)

#전봇대 #나무전봇대 #전신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공연소식, 문화계 동향, 서평, 영화 이야기 등 문화 위주 글 씀.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4. 4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5. 5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