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자살률, 미국 대공황 때보다 높긴 하지만...

[오마이팩트] 심상정 의원, 트위터에 언급한 '자살률 43.3명'은 2011년 남성 자살률

등록 2012.12.09 19:34수정 2013.01.09 10:28
0
원고료로 응원
a


[취재 : 사실검증팀] 구영식 김도균 홍현진 박소희 기자 / 그래픽 고정미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 "미국 대공황 때, 인구 10만 명당 20명 자살했습니다. 이명박 정권 때, 인구 10만 명당 43.3명 자살했습니다. 이명박 정권 5년간 대공황 때보다 더 많은 서민이 스스로 죽음을 택했습니다. 대공황보다 더한 대공황을 가져온 공황정권이 새누리당 정권입니다."(12월 8일,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은 8일 자신의 트위터에 "미국 대공황 때보다 이명박 정권 시절 자살률이 더 높다"고 썼다. 심 의원은 대선 후보 등록을 포기하는 대신 12월 2일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공동선언을 발표하며 손을 잡았다. 그가 문 후보 지지를 호소하며 남긴 이 글은 9일 오후 3시 42분 현재 863번 리트윗(RT)되는 등 많은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자살률이 미국 대공황 시절보다 높다는 심 의원의 말은 사실이나, 그가 인용한 수치는 정확하지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31.7명이다. '43.3명'이란 숫자는 남성이 자살한 경우만 따졌을 때 나오는 숫자다.

a

1983~2011년 한국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2011년에는 31.7명을 기록했다. ⓒ 통계청


2003년 자살률 22.6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에 오른 뒤 한국은 8년째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전 세계에 금융위기가 찾아온 2008~2009년에는 자살률이 26명에서 31명으로 늘어났다.

대공황 시절(1929~1933년) 미국의 자살률은 1929년 18.9명으로 가장 높았다. 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당시 자살률은 1930년 15.6명, 1931년 16.8명, 1932년 17.4명, 1933년 15.9명이었다. 2007년에는 11.3명을 기록했다.

a

미국 통계청 자료에 나온 대공황시절(1929~1933년) 자살률. ⓒ 미국 통계청



각 후보의 '피노키오 지수'를 보시려면 위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심상정 #자살 #대공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4. 4 장미란, 그리 띄울 때는 언제고
  5. 5 '입틀막' 카이스트 졸업생 "석유에 관대한 대통령, 과학자에게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