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인수위원장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새 정부 국정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남소연
지난달 21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박근혜 정부의 5대 국정목표와 140개 국정과제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국민행복연금 방안을 확정했다. 기존 기초노령연금을 기초연금으로 확대한 뒤 국민연금과 연계해 소득과 국민연금 납부 기간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나뉘어 매달 4만~20만원을 차등 지급하는 것이 국민행복연금의 주요 골자다.
이렇게 되면 월 20만원의 연금을 받는 대상은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소득하위 70% 노인'으로 축소된다. 당초 보편적 연금 성격에서 선별적 연금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을 받는 대목이다.
논란 불러온 '4대 중증질환 치료비 100% 국가 보장' 공약 '4대 중증질환 치료비 100% 국가 보장' 공약도 논란거리다. 지난해 새누리당 대선 정책공약집에는 '4대 중증질환(암, 심장, 뇌혈관, 희귀난치성 질환) 진료비 전액 국가부담'이라는 문구와 함께 '현재 75% 수준인 보장률(비급여부문 포함)을 2016년 100%로 확대'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하지만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내놓은 최종안에서는 4대 중증질환 진료비 지원 항목에서 비급여 항목(선택진료비, 상급병실비, 간병비)이 제외됐다. 이에 대한 새누리당의 입장은 대선 캠페인 당시 요약해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해일 뿐 공약이 후퇴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는 '4대 중증질환 100% 보장' 공약의 후퇴논란에 대해 "선거운동은 일종의 캠페인이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아주 단순하게 축약한 단어를 쓰다 보니 의미가 잘못 전달됐다"고 해명했다. 진 장관은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을 지냈다.
그는 "엄밀히 말하면 4대 중증질환 보장 공약은 대선공약이 아니라 총선공약이었다. 총선 후 정책위의장을 맡으면서 스스로도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해 3대 비급여를 제외하는 부분으로 명확히 했다"며 "이를 통해 대선공약을 만들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보도자료를 배포해 포함되지 않는다고 충분히 설명했다"고 해명했다.
야당·시민단체 "공약보다 실제 내용은 엄청 후퇴"하지만 야당은 이런 해명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은 "현재 보장성 75% 수준을 100%로 확대하겠다고 공약집에 버젓이 나와있다"며 "이런데도 4대 중증질환 관련 병원비를 국가가 모두 내주겠다고 생각하지 않을 국민이 어디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또 "박 대통령도 후보 시절 TV토론회에 나와 분명히 간병비를 포함해 보장하겠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공약은 전달한 사람이 주체가 되는 게 아니라 국민들이 이해한 게 공약"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