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윤호중 박사
온케이웨더
'사막화'란 건조한 토지에 생육하고 있던 식물의 수가 감소하거나 토사에 염분이 쌓여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흙의 능력이 감소해버리는 현상을 가리킨다. 사막화 방지 협약 조문에는 사막화 현상을 '건조·반건조·반건조 습윤 지역의 기후 및 인간 활동에 기인하는 토지 열화'라고 명시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소의 자료에 따르면 북아프리카 지역과 중국 서부 지방의 사막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중국 북동지역인 만주도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사막화가 진행되는 원인은 무엇일까. 윤호중 박사는 "사막화의 원인은 크게 자연적(30%)·인위적(70%) 요인 두 가지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자연적 요인으로는 극심한 가뭄과 기후변화, 장기간에 걸친 건조화 현상 등이 있다. 인위적 요인에는 과도한 경작 및 관개, 방목, 산림벌채, 환경오염 등이 있다.
자연적인 현상으로 대기 순환에 따라 고기압대와 저기압대가 변동하면서 고기압대가 위치한 곳에 비가 오지 않아 사막화가 되는 것이다. 북아프리카의 사하라사막은 과거 비도 많이 내리고 식물도 있었는데 현재는 비도 거의 오지 않고 식물도 자라지 않는 황폐한 지역이 됐다. 윤 박사는 "현재 몽골의 고비사막 일대에서 공룡 뼈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이는 그 일대가 과거에 열대우림이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고 밝혔다.
토지 사막화의 인위적 요인 중 대표적인 것은 '인간의 활동'이다. 과다 경작, 과다 방목, 산림벌목 등과 인간의 무지와 실수, 자연재해, 환경오염 등이 토지 황폐화를 촉진시킨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사막화가 더욱 가속화 됐다고 평가했다.
또 한 가지 요인은 토양의 산성화이다. 산성비나 산림의 벌채로 인해 토양이 산성화돼 식물이 살 수 없는 땅으로 변하는 것이다. 특히 관개농업으로 물이 과잉 공급되면 지하수면이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지하수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지표로 나오게 된다. 지표로 나온 수분은 증발하고 물에 포함된 염류는 지표에 남아 토양이 염류화된다. 동아시아의 경우 가축 방목으로 인한 초목의 이용도 사막화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막화나 가뭄에 의해서 황사 정도와 빈도가 심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자료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을 기준으로 황사 관측일수가 1970년대 23일, 1980년대 41일, 1990년대 70일, 2000년대 132일로 점차 늘었다. 인간이 지구 환경에 개입해 점차 심각해지는 사막화와 그 결과물인 황사. 그리고 황사가 다시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악순환의 고리를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사하라사막 주변 연평균 10㎞ 속도로 사막 확장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