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썹 가운데를 올리고, 눈썹 끝을 내리는 표정. 주로 우울하거나 슬플 때 이런 표정을 짓는다.
권용현
인간은 감정을 느낄 때 표정을 짓는다. 그래서 얼굴 생김새가 어떤 표정과 비슷하다면, 그런 감정상태라고 미루어 짐작한다. P군을 사람들이 어려워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눈썹 양쪽 끝이 올라가서 마치 화난 것처럼 보인 것이다.
눈썹모양을 보면 표정의 변화와 더불어 인체의 긴장상태도 짐작할 수 있다. 이완을 담당하는 부교감신경이 작용하면 눈썹꼬리가 내려가고, 긴장을 담당하는 교감신경이 작용하는 눈썹꼬리가 올라간다. 감정상태와 인체의 생리적 변화가 더불어 표현이 된다.
교감신경계는 직면한 위험에 대처하며 즉각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신체의 반응을 유도하는 운동 및 반사 운동시스템이다. 반면에 부교감 신경계는 휴식, 소화 및 신진대사 등을 담당한다. 모든 과정이 마찰과 무리 없이 기능할 수 있도록 이 두 신경계는 함께 작용한다.
사람에 따라, 혹은 외부환경에 따라 둘 중 한 신경계가 우세를 차지하면서 교감신경형 혹은 부교감신경형의 전형적인 반응양상을 띠게 된다.
표정은 감정을 바꾸고, 감정이 바뀌면 뇌가 달라진다관상에서 눈썹을 보면서 그 사람의 성격을 짐작하는 것도 그 근거를 이렇게 찾아볼 수 있다. 관상에서는 눈썹의 형태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 혹은 성향을 나눈다. 눈썹꼬리가 올라가면 양적이고 강한 성격을 지녔다고 보며, 눈썹꼬리가 내려가면 음적이고 부드러운 성격을 지녔다고 본다. 눈썹모양을 보고 표정과 긴장상태를 추측하는 것이다.
쌍둥이가 있는데, 시간이 흘러서 봤을 때, 한 명은 눈썹꼬리가 올라가 있고, 다른 한 명은 눈썹꼬리가 내려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이들이 어떤 표정을 많이 지었는지, 어떤 기분을 주로 느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 현재의 성향 역시 짐작할 수 있다.
눈썹 끝이 올라간 P군은 얼굴에서 보이는 것처럼 교감신경이 발달해서인지, 역동적인 성격이었다. 적극적인 성격으로 리더십과 추진력이 강했다. 그가 우려하는 단점(화난 인상)에는 이면의 장점이 있었다.
기왕이면 본인의 개성은 유지하되, 좀 더 호감가는 표정을 지을 수 있도록 조언을 해주었다. 눈썹을 찡그리면 더 화가 나 보일 수 있으니, 눈썹 전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표정을 계속 지을 것을 권했다. 그런 표정을 보면서 상대방이 자신을 반갑게 맞이한다고 여길 수 있도록 말이다.
그러던 어느날, P군이 싱글벙글하며 필자를 찾아왔다. 인상 때문에 걱정했었는데, 표정훈련을 하면서부터 자신을 어려워하던 사람들과 친해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타고난 추진력을 살려서 과대표로 리더십을 발휘한다고 했다. 표정은 감정을 바꾸고 감정이 바뀌면 뇌가 달라진다.
인상 때문에 걱정이라면 거울을 보고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표정을 계속 지어보자. 눈썹 전체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복을 맞이한다고 생각하자. 모든 것을 반갑게 맞이하면 성공도 저절로 따라올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