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재 <한국경제> 논설실장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경제민주화라는 이 단어는 그럴싸한 레토릭과는 달리 역사상 실패로 돌아간 허다한 사회주의적 향수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칼럼을 썼다.
한국경제 갈무리
또 공정경제 분과 민간위원으로 위촉된 정규재 <한국경제> 논설실장은 대표적인 경제민주화 반대론자다.
정 실장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에서도 경제민주화 이슈 선점에 나서자 강하게 비판하는 칼럼을 썼다. 그는 '전두환 키즈들의 헌법 제119조2항'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경제민주화라는 이 단어는 그럴싸한 레토릭과는 달리 역사상 실패로 돌아간 허다한 사회주의적 향수에 불과하다"며 "경제민주화는 공짜 복지를 늘리고 국고를 탕진하며, 집단이익의 발호와, 특권의 창설과, 관료들의 완장과, 완장들의 부패와, 이권을 물고뜯는 정치의 타락과, 실업자의 급증과, 빈털터리 경제와, 세금의 인상과, 빈부 격차 확대와, 가난의 양산을 필연적으로 불러오게 된다"고 주장했다.
박 대통령이 당시 경제민주화의 상징으로 영입한 김종인 전 비대위원에 대해서는 "'이렇게 빛 볼 날이 있구나'라며 늙은 사회주의자의 노래를 부를지 모르겠다"고 비아냥 대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민경제자문회의 첫 회의에서 공정경제 분과의 역할에 대해 "창조경제가 제대로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경제 민주화를 통해 공정한 경쟁을 보장받고 누구나 자신이 노력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며 "공정경제분과 위원들은 지금의 불공정 관행은 물론이고 그런 관행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요인들을 분석해서 개선방안을 찾는 데 주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공정경제 분과의 역할을 전반적인 경제민주화 정책 자문이 아닌 불공정거래 관행 개선 방안을 찾는 것으로 한정한 것이다.
경제민주화는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대선공약이었다가 대통령직 인수위의 국정과제 이행 청사진에서는 용어가 바뀌면서 공약 후퇴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28일 국정과제를 확정하면서 "정부의 의지가 약화됐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겠다"며 '경제민주화'라는 용어를 부활시켰다. 하지만 유일한 대통령 자문기구이자, 지난 정부에 비해 위상이 대폭 강화된 국민경제자문회 민간자문위원의 자질 논란이 벌어지면서 정부의 경제민주화 추진 의지가 퇴색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일게 됐다.
박 대통령 싱크탱크 미래연 출신 인사도 대거 위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