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형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은 지자체 최초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그리고 그 이후 그가 시도한 행정혁신 성공 사례에도 거의 어김없이 '지자체 최초'라는 수식이 붙었다.
강성관
<오마이뉴스>가 지자체 혁신 성공의 첫 사례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도전을 네 차례에 걸쳐 소개했다. 지자체 최초로 각종 공공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에 접목시켜 정책을 생산하는 사례를 시작으로, 역시 전국 최초의 민-관복지연대망인 '투게더광산'의 활동을 소개했다.
어르신들 스스로 노인복지관을 지역사회 전 계층의 교류와 소통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더불어樂' 활동과 지역 대안경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폐지수거․북카페․두부공장․청소용역 등 광산구의 협동조합 붐도 전했다.
이 모든 혁신 성공 사례엔 어김없이 '사람'이 있었다. 그들 대부분은 민선5기 들어 민간계약직의 형태로 새롭게 일을 시작한 이들이었다. 어떤 이는 자발적으로, 또 어떤 이는 '삼고초려'를 통해 광산구에서 자신들의 재능을 펼치고 있다. 결국 인사(人事)가 만사(萬事)였던 것이다.
이런 일꾼들을 발굴하고 채용한 주체는 두말할 것도 없이 자치단체장이다. 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에게 어떠한 기준과 원칙으로 사람을 모으고 일을 추진하는지 직접 들어보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 광산구 혁신 성공 비결엔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있었다. 특히 외부 전문 인사를 충원하는 비율이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눈에 띄었다. 인사원칙이 있는가."인사할 때 갖는 세 가지 의문이 있다. 이 의문이 원칙이 되고 있다. 첫 번째, 우리가 하려는 '자치'가 현재의 공무원만으로 온전히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현재의 인력으로 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한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외부에서 모셔와서라도 해야 한다. 이것은 제도적으로 보장이 되어 있다. 지자체 전체 정원의 10%를 개방형 직위로 쓸 수 있다.
두 번째, 사람을 안에서건 밖에서건 확보했다고 하자. 그 일에 맞는 사람인지 스스로 물음표를 던진다. 우리는 흔히 적재적소(適材適所)라고 한다. 적당한 인재를 적당한 곳에. 얼른 보면 맞는 말 같다. 하지만 어떤 일을 할 때는 그 일이 무슨 일인지 먼저 알아야한다. 그래야 그 일에 맞는 사람을 알 수 있다. 해야 할 일을 먼저 분석하고, 그 일에 맞는 사람 보내자는 것이다. 고 노무현 대통령이 말하던 적소적재(適所適材) 원칙이다.
세 번째, 인사만 깨끗하게 해도 50%는 먹고 들어갈 것이란 소리를 취임 당시 들었다. 그래서 인사권을 조직에 돌려드리겠다고 했다. 하지만 조직에서 인정받아야 승진하고, 중요한 자리에 갈 수 있다는 생각이 통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조직이 인정해주는 평가의 여러 가지 장치를 만들었다. 다면평가제라고 하는데 우리는 사무관 되려면 상호평가(선배들 평가, 동료들 평가, 후배들 평가), 각 부서 평가, 직무 계획서 등 다섯 가지 평가를 한다. 대부분 평가가 신기하리만큼 일치한다."
"공무원은 직업 이름 아냐... 공공선 창출하는 '공무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