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록지 않은 오늘의 대학현실, 그래도 봄날이다

[디카詩로 여는 세상⑪] <봄밤>

등록 2013.09.14 10:00수정 2013.09.20 16:21
1
원고료로 응원
 창신대학교 야경
창신대학교 야경이상옥

    얇은 속옷 같은
     어둠이 은은히 드리워진
     봄밤의 캠퍼스
     늦은 강의동 몇몇 창들만 빤히 눈을 뜨고
           -이상옥의 디카시 <봄밤>

영국의 계관시인 존 던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은 대학이라고 했다. 우리나라 어느 대학이든지 캠퍼스마다 건물과 숲이 어우러지고 젊은 청춘들의 열정과 패기를 느낄 수 있어, 정말 대학이야말로 지상의 낙원이다.


 대학이 왜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인지를 잘 보여주는 창신대학교 교정의 피리 부는 소녀 조각상
대학이 왜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인지를 잘 보여주는 창신대학교 교정의 피리 부는 소녀 조각상이상옥

옛부터 대학은 학문의 연구와 교수가 이루어져 왔기에 진리의 전당이고 또한 상아탑이라고 했다. 대학 바깥에는 비바람이 불고 폭풍이 몰아쳐도 대학은 여전히 무풍지대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의 대학은 인간의 가치와 삶의 의미 같은 생에 대한 근원적 질문과 모색을 찾아보기 힘들다. 언제부턴가 대학에서 인문학의 설자리가 왜소해졌다.

2006년도 고려대 문과대 교수들이 "무차별적 시장논리와 효율성에 대한 맹신으로 인문학은 그 존립 근거와 토대마저 위협받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는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여 큰 화제가 되면서 대학에서조차 인문학 퇴조의 위기감을 한껏 드러낸 바 있다. 그것이 최근에는 철학과 같은 인문학의 핵심 학과들이 폐과되는 현실로 나타났다. 가령 어느 대학에서 인문학 관련 학과가 폐과되었다는 소식이 있다손치더라도 이제 더 이상 뉴스거리도 되지 못 한다. 이게 오늘의 냉엄한 대학 실상이 아니고 무엇인가.

지난 달 교육부는 2014학년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학자금대출제한대학 및 경영부실대학 평가 결과를 발표한바, 2011년부터 3년째 평가지표에 따른 평가순위 하위 15% 사립대를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하고, 이 중 부실정도가 심하면 학자금대출제한대학, 더 심하면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되어, 이 경우는 국가장학금 지원을 제한 받는다. 이 번 평가 결과 전체 337개 대학 중 35개교가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이중 14개교는 학자금대출제한대학으로 지정됐고, 이중 11개교가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되어 국가장학금 지원을 못 받게 됐다.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되면 신입생 충원이 거의 힘들게 되고, 지표관리의 악순환을 거쳐 폐교의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의 대학 평가 지표로 재학생충원율과 취업률이 큰 비율을 차지하는데, 정부재정지원대학이나 경영부실대학으로 낙인이 찍히면 신입생 지원율은 저조할 수밖에 없고 덩달아 취업률도 낮을 터이니, 결국 이런 대학들은 자연 도태로 간다. 그러니, 철학과 같은 인문학 관련 학과를 유지하기가 큰 부담이다. 대학을 당장 졸업하면 취업할 수 있는 실용 학과 중심으로 개편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이 여기에 있다,

따라서 교수들도 예전처럼 상아탑 안에서 진리 탐구에만 머물지는 못한다. 논문 쓰기와 강의는 기본이고 부지런히 산학협동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 학생들 또한 청춘의 낭만에 빠져 있을 시간이 없다. 취업을 위해 토익점수를 올려야 하고,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등 남다른 스펙을 갖추지 못하면 살벌한 취업전선에서 도태되니 학생 또한 대학이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여기기 힘들다.


실상 지상 어디엔들 낙원이 있겠는가. 환경이 아무리 바꿨다고 하지만, 대학은 그래도 세상 바깥보다는 자유롭고 희망적이다. 대학 연구실에 있으면 누구도 간섭하는 사람이 없다. 나만의 자유 공간에서 책을 읽고 글을 마음껏 쓸 수 있는 것만으로도 대학은 매혹적이다. 또한 비록 예전 같지는 않지만 그나마 생에 대한 근원적 질문과 모색을 해볼 수 있는 유일한 터전이 대학이라는 점만으로도 학생들에게 대학은 아직까지 지상에 존재하는 마지막 낙원인 셈이다.

 창신대학교 본관, 이 곳에 소재한 연구실에서 봄밤 창신대학 야경을 테마로 최초의 디카시를 썼다.
창신대학교 본관, 이 곳에 소재한 연구실에서 봄밤 창신대학 야경을 테마로 최초의 디카시를 썼다. 이상옥

2004년 봄밤이었나 보다. 대학 본관에 위치한 연구실에서 늦게까지 퇴근하지 않고, 창 밖 텅 빈 캠퍼스를 바라보았다. 봄밤의 캠퍼스는 어둠이 은은히 드리워져 있었고, 강의동 몇몇 창들만 불을 밝히고 있었다.


 약 10년 전 본관에 소재한 연구실에서 썼던 디카시 <봄밤>의 현장을 오늘 낮 스마트폰으로 담았다.  <창신대학교 콘스트홀>
약 10년 전 본관에 소재한 연구실에서 썼던 디카시 <봄밤>의 현장을 오늘 낮 스마트폰으로 담았다. <창신대학교 콘스트홀>이상옥

봄은 그렇게 가고 있었다. 거의 10년이나 지난 봄밤을 이 가을에 추억해 본다.  앞의 글에서도 말한 바대로 2004년 봄 나는 처음 디카시(詩)를 생각했다. 자연이나 사물에 존재한 시적 형상을 디지털카메라로 찍는 시를 시도한 것이, 10년 가까이 지난 지금, 디카시는 제법 많이 보급되었다. 누구나 일상에서 만나는 사물의 이미지를 스마트폰(디카 내장)에 담고 그 이미지가 전하는 의미나 말을 짧은 문장으로 재현하면  디카시가 되니, SNS로 극순간 쌍방 소통이  가능하여 새로운 문화놀이로도 자리잡고 있다.

처음 디카시를 구상할 때만 해도 스마트폰과 SNS을 통해 확산될 것이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다. 인용한 디카시 <봄밤>은 디카시라는 이름으로는 첫 작품이다. 디카시라는 장르가 문학사에 남게 된다면 이 작품이 그 첫 장을 장식할 것이다. 디카시라는 장르를 개척하게 된 것도 내가 대학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생각해 보면, 내게도 여전히 대학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여겨진다.
덧붙이는 글 디카시는 필자가 2004년 처음 사용한 신조어로, 이제는 채호석 교수가 쓴 『 청소년을 위한 한국현대문학사』(두리미디어, 2009)에 새로운 시문학의 한 장르로 소개되어 있을 만큼 대중화되었다. 디카시는 스마트폰으로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형상(날시)을 순간 포착(영상+문자)하여, SNS 등으로 실시간 순간 소통을 지향한다
#디카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국디카시연구소 대표로서 계간 '디카시'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고 있으며, 베트남 빈롱 소재 구룡대학교 외국인 교수로 재직 중이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