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총장이 감찰 지시' 보도는 사실 무근?

채 총장 문자메시지 보내... "청와대 민정 <조선>보도 사전 유출" 의혹도

등록 2013.09.16 18:50수정 2013.09.16 21:59
1
원고료로 응원
a

취재진에 둘러싸인 채동욱 검찰총장 13일 오후 전격 사의를 표명한 채동욱 검찰총장이 취재진에 둘러싸인 채 서울 서초동 대검청사를 나서고 있다. ⓒ 남소연


채동욱 검찰총장이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검사를 감찰하라고 지시했다는 보도를 부인했다. 채 총장이 자신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김 부장검사를 감찰하라고 했다는 박지원 민주당 의원의 주장과 보도가 나왔지만 당사자가 이를 부인함으로써 이 문제는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그럼에도 석연치 않은  대목들은 남아있다.

박지원 사찰 주장- 감찰 지시 보도 - 대변인 설명

<연합뉴스>는 16일 오후  "채 총장이 김 부장에 대한 감찰 착수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대검의 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채 총장이 김 부장에 대한 감찰 착수를 지시했다"며 "곧 통화내역 조회, 관련자 소환 등 감찰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채 총장이 자신에 대한 사찰 정황을 파악한 지난 5일 먼저 감찰 지시를 내렸다가 사표가 보류되자 감찰을 재지시했다는 내용이었다.

사찰 의혹은 앞서 박지원 민주당 의원의 주장에서 시작됐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곽상도 전 민정수석과 국정원 2차장 등이 채 총장을 사찰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지난 8월 5일) 해임 당한 곽상도 전 수석은 이중희 청와대 민정비서관에게 '채동욱 사찰 자료'를 넘겼고 8월 한달간 채 총장을 사찰했다"면서 "이 비서관과 김광수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 두 사람만 연락을 하면서 이러한 내용이 유지가 됐는데, 심지어 이 비서관은 김광수 부장에게 '채 총장이 곧 날아간다'는 얘기를 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의 주장은 채 총장의 감찰 지시 보도와 아귀가 맞았다.

이에 대해 구본선 대검찰청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감찰 관련 사항이라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보도를 부인하지 않은 것이었고, 검찰의 경우 관계자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답하면 대부분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청와대 민정비서관의 <조선일보> 보도 사전 유출 의혹도 제기돼

이날 오후에는 사찰 의혹에 이어 이중희 비서관이 <조선일보>의 보도를 일부 검사들에게 미리 흘렸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을 수사한 한 검사는 15일 검찰 내부 게시판(이프로스)에 '검찰수사 외압 및 검찰총장 음해 의혹'의 글을 올렸다.


해당 검사는 이 글에서 "(이중희)민정비서관은 일부 검사에게 조선일보 보도 예정 사실을 알렸고, 그 무렵 일부 검사에게는 총장이 곧 그만 둘 것이니 동요치 말라는 입장을 전달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은 행위 자체는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고 도덕적, 윤리적 책임을 부담하면 된다"며 "의혹 제기사항 중 부적절한 경제적 이익 취득이나 직권남용 등이 확인된다면 이는 수사대상이 된다"고 밝혔다. 또 "수사 외압·총장 음해 의혹이 형사처벌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채 총장도 문자메시지로 '감찰 지시 안 했다' 확인

대변인의 답변 문자와 사찰 주장 보도에 법무부와 채 총장이 '감찰 대 감찰'로 맞서게 됐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법무부는 청와대가 사표 수리를 보류하면서 감찰은 계속된다고 이날 밝혔다. 법무부의 채 총장 감찰과 채 총장의 사찰 연루 검사 감찰은 이번 사태의 포인트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곧 이어 구 대변인은 "오늘까지 채 총장이 김광수 부장 검사에 대한 감찰을 지시한 바 없다"는 문자를 기자들에게 보냈다. 또 논란 당사자인 김광수 부장검사는 사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부장검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대검으로부터 어떤 통보도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중희 청와대 민정비서관과는 검찰에서 함께 근무해 잘 아는 사이여서 평소에도 연락을 주고 받는다"며 "의혹 제기가 있어서 확인해보니 9월달에는 통화한 사실도 없다"고 말했다.

<오마이뉴스>는 채 총장에게 답변을 받기 위해 수 차례 전화했다. 연락이 닿지 않던 채 총장은 문자를 보내 "대변인 내용 풀 그대로다"고 답했다. 채 총장의 감찰 지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일단락됐다.

석연치 않은 점은 존재한다. 번복한 게 아니냐는 점이다. 채 총장의 감찰 지시가 보도되면서 사의를 표명한 와중에 청와대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으로 해석되자 검찰 조직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갑자기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해석도 가능하다. 채 총장은 번복 논란이 일자 "둥지를 깨끗이 하고 이미 떠난 새는 말이 없다"는 말로 자신의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채동욱 검찰총장 #감찰 지시 논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2. 2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