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폭등...전세자금 대출 4년만에 3배 ↑

박원석 의원 "서울 아파트 전세 재계약하려면 평균 5000만 원 더 필요"

등록 2014.02.18 15:41수정 2014.02.18 15:41
0
원고료로 응원
아파트 전세가격 급증으로 은행권 전세자금 대출 잔액이 4년만에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값이 지금처럼 증가할 경우 서울지역 아파트 세입자들은 재계약시 5323만 원에 달하는 보증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18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작년 말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28조 원에 이른다"면서 "지난해에는 최근 3년 중 가장 많은 11조 3000억 원이 신규 대출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 전세자금 대출잔액은 지난 2009년 말에는 10조 5000억 원 정도였다. 그러나 최근 3년 동안 대출액이 급증했다. 2011년과 2012년에 신규로 집행된 전세자금 대출 규모는 각각 8조 5000억, 10조 2000억 원으로 조사됐다.

박 의원은 이같은 대출규모 급증의 원인 중 하나로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주거안정화 정책 실패를 지목했다. 정부가 전세 가격상승은 그대로 방치한 채 '빚 내서 집사게' 하는 주택구매 유도 정책을 펴서 주택가격 부양에만 집중한 탓에 국민들이 빚더미에 앉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들어 전세자금 대출이 급증한 것은 아파트 전세값이 76주째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이날 "지금과 같은 전세 증가세가 계속될 경우 전세입자들이 재계약시 5323만 원의 추가 보증금을 부담해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올해 1월말 기준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 2억 9675만 원에 지난해 전세가격 증가율 8.97%를 적용한 가정이다.

박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주거안정 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같은 증가추세는 사실상 서민·중산층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채에 시달리는 가계와 전월세시장의 장기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주거안정대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원석 #전세자금대출 #박근혜 #전세 상승 #전셋값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