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8일 오후 경북 경주시 양남면 읍천항에서 바라 본 월성 원전 전경. 왼쪽 원기둥 모양이 월성 1~4호기. 오른쪽 돔형이 신월성 1~2호기.
김시연
경북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월성'이란 지명이 사라진 지 오래인 이 작은 어촌 마을에 2년 전 제2의 '랜드마크'인 '월성스포츠센터'가 들어섰다. 한국수력원자력(아래 한수원)이 지역 주민에게 보낸 '선물' 가운데 하나였다.
"(정년 퇴임이) 이제 얼마 안 남았는데, '계속 운전(재가동 되는 것)'을 보고 나가게 해 주십시오."
월성 원전에서 30년 넘게 일하다 정년퇴임을 1년 앞둔 조왕기 월성원자력본부 제1발전소장의 마지막 당부였다. 하지만 이 어울리지 않는 '선물'에 아랑곳하지 않고 '노후 원전 수명 연장'을 반대해온 지역 주민들에겐 '불안한 10년'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었다.
후쿠시마에 '발목' 잡힌 월성 1호기, '계속 운전'은 대세?2012년 11월 20일로 설계 수명 30년을 다한 '노후 원전' 월성 1호기는 1년 넘게 가동을 멈췄지만, 지금도 수십 명의 원전 조종사들이 10명 6개 조로 나눠 지키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서 '계속 운전'을 허가하면 수명이 10년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수원이 지난달 28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원안위 출입기자들을 굳이 월성 원전으로 부른 이유였다.
공교롭게 이날 오전 전남 영광에 있는 한빛 원전 2호기 가동이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원자로를 자동으로 멈추는 설비를 시험하는 도중 원자로가 갑자기 멈춰버린 것이다. 지난해 11월 부실 정비 의혹으로 가동을 멈췄다 재가동한 지 불과 101일 만이었다.
이날 동행한 한수원 직원들은 "원전은 민감하게 설계돼 조금만 이상 신호가 감지돼도 자동으로 정지한다"면서 "고장 때문에 멈춘 게 아니라 고장 방지 차원"이며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이면서도 긴장한 표정까지 감출 순 없었다. 3년 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의 일거수일투족에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수원에서 지난 2009년 12월 30일 월성 1호기 계속 운전 인허가를 신청할 때만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다. 지난 2007년 6월 설계 수명이 끝난 '최고령 원전' 고리 1호기도 6개월 만에 손쉽게(?) 계속 운전 허가를 받아 2008년부터 재가동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이어 이듬해 고리 1호기 정전 은폐 사건, 원전 부품 납품 비리, 불량 부품 시험성적서 조작 사건 등이 잇따라 터지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결국 지난 2009년부터 2년 3개월간 7천억 원을 들인 설비 개선 작업으로도 모자라 지난해 5월부터 지진, 해일 등 중대 사고에 대비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현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민간 검증단 심사를 받고 있다.(관련기사:
월성 1호기 수명 연장 '시험대'... 전문가 검증 착수 )
이날 홍보관에서 기자들을 맞은 윤청로 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장은 "30여 개국에서 135기 이상이 '계속 운전' 허가를 받았고, 현재 50기 이상이 계속 운전 중이고, 국내도 고리 1호기가 10년간 계속 운전을 하고 있다"면서 계속 운전을 '당연한 수순'인 양 강조했다.
월성은 후쿠시마보다 안전? 핵폐기물 처리 '배보다 배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