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내 안의 보루> 표지.
컬처앤미디어
소설 <내 안의 보루>는 2001년 대우자동차 농성투쟁, 2003년 명동성당 이주노동자 투쟁, 그리고 2009년 77일 간의 쌍용차 파업투쟁에 이르기까지 세 번의 큰 싸움을 거치며 세 번 모두 구속됐고, 학생운동 시절까지 합쳐 여섯 번이나 구속된 김혁이란 인물의 삶과 투쟁을 소설 형식을 빌어 담고 있다.
김혁 실장은 보기만 해도 훈훈한 정이 느껴지는 사람이었다. 날카로운 눈매나 딱딱한 인상도 아니었다. 오히려 부드러운 힘이랄까. 조금 답하기 곤란하거나 무거운 질문을 던져도 그는 인터뷰 내내 따뜻한 웃음을 잃지 않았다.
"전 학생 때 운동을 시작했어요. 그때만 해도 비합시대였고, 엄숙하고 경건했죠. 선배들은 의식이 굉장히 강했고 이념도 투철했어요. 저는 그렇지는 않았는데 1986년 1년 6개월 간 감옥살이를 하면서 바뀌었어요.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그때만 해도 교도소가 정말 열악했고, 교도관들과 매일같이 싸웠죠. 그러다보니 세상에 대한 분노와 울분이 끓어올랐고 가만히 앉아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 커진 거예요." 싸울 때마다 이기지 못했지만 지면 지는 만큼 스스로 분노와 의식이 커져갔다고 김 실장은 말한다.
책 <내 안의 보루>가 만들어진 사연을 김혁 실장에게 물었다.
"제가 쌍용차 투쟁으로 구속됐을 때 대학 친구인 고진이 관심을 가졌던가 봐요. 감옥에 있을 때 금속노조 한 후배가 면회를 와서 수기를 써보라고 할 때는 그냥 말았는데 나중에 생각해보니 제가 아주 특별한 삶을 산 건 아니지만 평이한 삶도 아니다 싶어 그때부터 일기를 썼어요. 그날그날의 일상뿐 아니라 그동안의 활동과 운동과정을 되돌아보는 글을 쓴 거죠."
김 실장은 감옥에 있는 24개월 간 총 24권의 일기를 썼다. 출소한 후 그 일기를 친구 고진 씨에게 줬다. 고진씨는 그 일기를 기초로, 한상균 지부장을 몇 차례 만나 인터뷰를 해서 이 소설을 썼다.
2009년 5월 쌍용차 평택공장에서 참모와 지도자로 만난 두 사람김혁 실장과 한상균 전 지부장은 광주 기계공고 동창이다. 광주항쟁 때 그들은 시민군으로 군사독재정권에 맞섰다. 학교 때도 광주항쟁 때도 서로 모르는 사이였고 다른 삶을 살면서 나이를 먹었다.
"쌍용차가 2646명을 정리해고하기 전에 비정규노조가 떴고 대책을 세워야 했죠. 당시 제가 금속노조 미비국장이었고 미비특위를 열었는데 쌍용차지부 연대사업부장이 '우리 지부장도 광주항쟁 때 거기 있었는데...' 하는 거예요."두 남자는 자신들에게 그런 인연이 있었음을 2009년 5월 쌍용차 평택공장에 들어갔을 때 비로소 알게 됐다.
김혁 실장이 바라보는 한상균은 어떤 사람일까.
"쌍용차 투쟁이 그렇게까지 커질 수 있었던 원인은 조합원 대중의 자발적인 투쟁이 가장 큰 힘이었고, 한상균 동지의 지도력도 중요했어요. 현대차, 만도, 대우차 등 큰 정리해고 투쟁들이 있었죠. 마지막 결단해야 될 순간을 대부분 장이 짊어지는데 그 두려움과 하중을 견디기 힘들어요. 그런 점에서 한상균 지부장은 정말 지도자답게 대처했어요."한상균 전 지부장은 조합원들 앞에서 자신도 두렵다고, 하지만 함께 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싸우자고 했다.
"보통은 '조합원동지들, 반드시 끝까지 싸워서 승리하자'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한상균 동지는 조합원들에게 대단히 솔직하게 다가갔어요. 또 중요한 순간 결단이 필요할 때도 잘했어요. 그런 지도자였어요."쌍용차 77일투쟁, 이래서 가능했다조합원의 자발적 투쟁력과 훌륭한 지도력이 결합돼서 쌍용차 77일 투쟁이 가능했다고 김혁 실장은 평가한다.
"한상균 동지는 이제 한 사업장의 지도자가 아니라 전체 노동운동을 이끌 위치에 섰어요. 스스로도 알 테고 어깨가 무거울 겁니다. 감옥에서 나와 한 달 만에 어쩔 수 없이 (철탑에) 올랐는데, 그 무게를 혼자만 지지 말고 나눴으면 하는 바람이에요."김혁 실장은 친구이자 동지로서 삶을 함께 해 온 한상균 전 지부장이 오랜 고공농성으로 인해 나중에라도 건강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걱정한다. 그 치열한 싸움의 현장,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에서 김혁 실장과 한상균 전 지부장은 서로를 지키는 보루였다.
"제가 쌍용차 투쟁 때 참모역할을 한 거죠. 사실 그때는 매일같이 싸워야 했기 때문에 서로 의지가 된다거나 그런 여유조차 갖기 힘들었어요. 구속돼서 안양교도소에 같이 있었는데 사동은 서로 달랐지만, 서로 마주보는 건물 복도에 서서 큰 소리로 부르며 이야기를 나눌 때 정말 가깝게 느껴지고 서로 힘이 된다는 걸 느꼈죠."김혁 실장은 2년 간 감옥살이를 하다 출소돼 나올 때도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었다. 형사사건 상고심에서 원심이 파기된 것은 그의 사례가 처음이었다. 법률가들은 이를 두고 시국사건의 역사를 새로 썼다고 말한다. 다시 항소해서 3년이던 형기가 2년으로 줄어 그는 2011년 8월 6일 출소했다.
"개인적으로는 감옥에서 나가니까 정말 좋은데 한상균 동지를 두고 가야 하는게 또 얼마나 마음이 무겁고 아픈지... 그런 묘한 감정을 경험했죠."어려울 때일수록 원점에서 다시 출발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