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10년 3월부터 도서벽지와 농어촌 읍면지역 전체 초등학생에 대한 무상급식을 시행한 가운데 경기도 평택 갈곶초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무상으로 제공된 급식을 먹고 있다.
유성호
"무상급식을 하니 학교가 환해졌습니다. 우선 급식비를 못 내서 의기소침한 아이들이 없고, 교사들은 급식비를 독촉 안 해서 좋고, 아이들 건강해지고 밝아지고 자신감도 넘치고, 그래서 학업분위기도 좋아져서 성적이 쑥쑥 오릅니다. 하하."
친환경무상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전북의 한 중학교 교장선생님의 말씀이십니다. 친환경무상급식으로 달라진 아이들과 학교가 눈으로 보이는데도 어깃장을 놓는 사람들은 있습니다.
지난 3월 서울시교육청은 학부모 모니터링단 1200여명을 모아놓고 "농약은 과학이다", "친환경농산물은 안전하지 않다", "농약은 물로 두 번 담가 씻으면 안전하다"는 내용의 교육을 하다, 시교육청이 농약 장사한다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또한 맹독성 농약 사용이 허용되는 GAP 농산물을 아이들 밥상에 올리라고 강요하고 있습니다.
보수진영과 시교육청의 시대착오적인 먹거리 인식은 국민적 요구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이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필요는 개인적 선택이 아닙니다. 공공급식 영역에서 친환경 안전먹거리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국가가 보장해야 합니다. 아직까지 친환경무상급식의 영역에서 소외된 중고등학교에 대해 친환경무상급식을 헌법이 보장한 의무교육의 일환으로 전면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시설장의 재량에 맡겨진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역시 친환경우리먹거리 급식을 의무화해야 합니다. 노인복지시설과 국공립 병의원 시설, 먹거리 취약계층의 대한 지원에서도 친환경우리먹거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이 학교급식을 넘어서는 친환경무상급식의 미래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먹거리 위기와 불안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방사능오염은 지속적으로 우리 밥상을 위협하고, 유전자조작 GMO식품은 우리 식탁을 점령했습니다. 식품첨가물은 우리가 먹는 것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분조차 불분명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먹거리 정책과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학교급식은 그냥 한 끼 밥이 아닙니다. 아이들에게 차별이 아닌 공동체와 평등을 가르치고, 건강한 미각경험을 통한 식교육을 실천합니다. 지역생산자와 연계해서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확대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생태 순환적 친환경농업은 환경을 살리고, 종의 다양성을 보호합니다.
해남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서울로 모여 다시 지역으로 팔리는 복잡한 유통단계를 줄이고, 질은 높아지고 비용은 절감되는 식재료 공급체계를 공공조달로 보장합니다. 직거래 계약재배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먹거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먹거리 정책을 가능하게 하며, 도시와 농촌을 서로 먹여 살립니다.
학교급식시장에서 일궈낸 이러한 결과는 국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습니다. 이것이 친환경무상급식의 진정한 가치입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5
학교급식법개정과 조례제정을 목표로 2002년 설립되어, 현재는 학교급식 및 공공급식 정책연구, 제도개선, 식생활교육 및 상담 등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활동을 하는 비영리사단법인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