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협 저자와 참가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박한창
그렇다면 우리나라 특권층의 공공의식이 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나라의 안보를 외세에 의존해온 관행에서 찾았다. 고려 말부터 원나라에 정권 안보를 의지하기 시작하면서 민생을 제대로 돌보지 않으면 특권층인 자신들이 쫓겨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사라졌다는 것.
최근 KBS 드라마 <정도전>이 재조명한 것처럼 일부 조선의 건국세력은 이 문제에 정면 도전하기도 했고, 조선 초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도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진행됐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또다시 안보를 외세에 의존하는 나쁜 전통이 되살아났음을 지적했다.
그는 "구한말의 조선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그래도 매천 황현과 같은 지식인과 을사조약을 끝까지 거부한 한규설 등 유교적 소양을 제대로 갖춘 관료들에게는 공공성에 대한 원칙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조선 망국 이후 일본 제국주의가 국권을 찬탈하게 되면서 특권층이 혜택은 누리되 책임은 생각지 않는 풍조에 물들게 됐다는 것. 또한 해방 이후에도 주한미군이 진주하고 작전통제권을 미군에 이양하는 등 안보를 외세에 의존하며 공공성이 완전히 되살아나지 못했다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재정파탄 면하려면 어린이 참정권 부여해야또 한 가지, 저자가 힘주어 강조한 것은 어린이 참정권이었다. 읽고 쓸줄만 안다면 갖난아이에게도 투표권을 줘야한다는 파격적인 주장이다. 투표 연령을 20세에서 19세로 한살 낮추는 데도 수십 년이 걸렸는데, 어린이 참정권이라니?
"어린이에게도 참정권을 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황당하게 들리죠? 100여 년전, 여성 참정권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되돌아보면 지금 어린이 참정권을 생각하는 것처럼 황당하게 생각했어요. 당시 여성에게 참정권을 주면 부부간의 신뢰관계가 무너질 것이라 걱정했거든요. (웃음) 지금으로는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되는 여성참정권이 과거엔 얼마나 황당했는지 되새기며 어린이 참정권을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