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새정치민주연합 회의실지난 15일 오전 원내대책회의가 취소돼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회의실이 텅 비어 있는 모습.
남소연
세월호 특별법 협상이 당 외적으로 주어진 과제라면 당장 내부의 닥친 문제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다. 현재로서 비상대책위 구성 권한은 오로지 문 위원장 홀로 가지고 있다. 내부적으로 각 계파를 아우를 수 있는 구성과 함께 대외적으로는 새롭게 혁신하는 모습도 보일 필요가 있다.
일단 '문희상 비대위'는 기본적으로 내부 인사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다. 무리해서 외부 인사를 위원으로 앉히는 경우 지난 번 이상돈 교수 사례와 같은 반발을 살 수 있다. 그걸 감안하더라도 그 자리를 받을 만한 마땅한 인사가 거론되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난 대선 패배 이후 구성됐던 비상대책위처럼 당내 계파별 안배를 한 가운데, 젊은 초선 의원과 중진 의원을 섞어 놓은 형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크다.
비상대책위원회의 구성이 관심을 모으는 건 그것이 곧바로 당의 조직 근간을 만드는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에는 박영선 원내대표와 이석현 국회부의장을 제외하고 어떠한 선출직 대표자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조직의 많은 부분이 미비한 상태에서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새정치연합)이 합당하면서 발생한 문제다.
문 위원장은 아무 것도 남지 않은 당의 조직을 사실상 재건해야 한다. 당내 의사결정기구인 당무위원회나 중앙위원회, 조직강화특위를 새로 만들어야 하고 공석인 지역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 이들 의사결정기구와 지역위원장 선출 문제는 향후 총선에서 공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잡음이 생길 경우 당내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전당대회 준비와 국회정상화] 망가진 당, 다시 서려면?앞서 언급한 비대위 구성이나 조직체계 정비가 당장의 과제라면 내년 초로 예정돼 있는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준비는 비상대책위의 장기적 과제가 될 전망이다. 비상대책위가 가장 어려움을 겪게 될 과제로도 꼽힌다. 어떤 '룰'을 정하느냐에 따라 각 당대표 후보들의 이해타산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의 당직 선거와 공직 선거, 즉 당대표 선거와 국회의원 후보 공천 방식은 고정되지 않고 그때그때 바뀌어왔다. 누가 당권을 잡느냐에 따라 유불리가 나뉘었고, 그것은 결국 당이 안정되지 못하고 항상 혼란스러운 모습으로 비치게 됐다. 이를 극복해야만 새정치연합에게 무언가 다른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당 내외의 평가였다.
그런 면에서 문 위원장 체제의 비상대책위원회는 최대한 다수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선거 방식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오픈 프라이머리' 등 개방형 선거 룰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당내 어느 정도의 공감대를 얻고 있지만, 모바일 투표 등 참여 방식과 비중을 놓고는 앞으로 많은 논쟁이 예상된다.
이러한 당내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희상 비대위'가 해야 할 일이 또 있다. 바로 국회를 정상화 하는 부분이다. 이것은 세월호 특별법 협상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지만, 그와는 별계로라도 담뱃값 인상 등 정부여당의 증세정책과 복지 디폴트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또 새해 예산안 처리와 국정감사 등을 위해서라도 어떤 방식으로든 국회 운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5
공유하기
문희상, 박영선과 다르게 세월호 협상할 수 있을까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