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설문조사 결과 놓고 서울시-강남구 신경전

강남구, 조사 대상자와 설문내용 부적절 반박

등록 2014.09.24 18:14수정 2014.09.24 18:14
0
원고료로 응원
지난달 4일 서울시와 강남구가 개발방식을 놓고 갈등을 빚어 도시개발구역에서 해제된 구룡마을에 대한 개발방식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이번에는 서울시와 강남구가 설문조사를 놓고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강남구는 지난 19일 새누리당 소속 서울시의회 김현기(강남4) 의원이 시정질의에서 발표한 구룡마을 개발 관련 시민 설문조사가 "조사 대상자와 설문내용이 모두 부적절해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24일 강남구는 "서울시의회가 '유니온리서치'에 맡겨 실시했던 이번 설문조사는 강남구민 300명과 여타 지역의 서울시민 700명을 합쳐 총 1000명을 설문한 결과인데 구룡마을 개발처럼 거주민의 재정착과 주거안정을 위해 고도의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한 사업에 이 같은 설문조사는 무의미하다"고 반발했다.

이어 "구룡마을은 개발이 제한된 지역으로 법에 따라 공익적인 관점에서 개발방식이 결정될 사안이지 해당지역 주민이나 토지주와 시민들의 의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김현기 의원은 지난 19일 서울시의회 제256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서울시민의 46.3%가 서울시가 주장하고 있는 현금과 일부 토지 보상을 혼합한 일부 환지방식에 찬성했고 강남구가 주장하고 있는 100% 현금으로 보상하는 수용·사용방식은 33.3%만이 찬성했다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설문 참여 시민 중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해제 과정에 대해 아는 사람은 39.1%에 불과했지만 응답자의 다수인 46%는 구룡마을 개발사업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강남구민은 54.7%가 사업 재추진에 찬성해 다른 지역(41.9%)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강남구는 "실제로 전체 설문대상자의 60.9%가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해제과정'을 모른다고 답해 관심조차 없는 임의의 시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는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반박했다.


구는 "구룡마을이 어떤 지역인지 잘 모르는 24개구 거주민들을 무려 700명을 선정한 데 반해, 강남구민은 300명을 선정했는데 이들 300명 중 구룡마을 거주자가 다수 포함되었을 개연성이 있는 개포1동 주민을 100명이나 포함시켰다"며 "조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의만 가진 구룡마을 주민(명의신탁 토지주) 등 직접 이해 당사자를 배제한 강남구민을 대상으로 했어야 옳았다"고 주장했다.

구 관계자는 "각 자치구마다 복지예산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당에 서울시의회가 1700만 원이나 들여 이 같은 설문조사를 한 의도가 의심스럽다"며 "구룡마을을 강남에 걸맞은 비전도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100% 수용·사용 방식의 공영개발을 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강남구 주장에 대해 김현기 의원은 "시정질문에서 언급한 설문조사 결과는 표면적인 내용만을 언급한 것"이라며 "지역별로 분석된 구체적인 설문조사 결과는 조만간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강남내일신문 게재
#구룡마을 개발 #강남구, 서울시 #설문조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강남내일신문이라는 지역신문에서 활동하는 기자입니다. 지역신문이다 보니 활동지역이 강남으로 한정되어 있어 많은 정보나 소식을 알려드리지 못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기사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4. 4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5. 5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