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축제에서 선보인 훈민정음 한지등.
이현정
"샵쥐 생선 사러 갈 건데. 같이 갈래? 배카점 셀이잖아."
"우래기 퍄노 섭 끝나고 갈게. 버정에서 만나."여러분은 이들의 대화가 쉽게 이해되시나요? 글쎄요, 전 분명 우리말이긴 한데, 그 뜻을 곧바로 알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고리타분하거나 유행에 뒤처지는 사람이 되어 버린 탓일까요? 최근 들어 이처럼 해석이 필요한 대화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 서비스를 이용해 대화를 나누다 보면 알쏭달쏭한 경우가 더욱 많아졌는데요. 신조어, 줄임말 해설서라도 만들어야 할 판입니다. 그렇다면 줄임말과 각종 신조어 사용,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요?
재미삼아 쓰는 줄임말 신조어, 그 실태는?배카점은 백화점, 셀은 세일을 이르는 말입니다. 즉, 앞선 대화를 해석하면, "시아버지 생신 선물 사러 갈 건데. 같이 갈래? 백화점 세일이잖아." "우리 애기 피아노 수업 끝나고 갈게. 버스정거장에서 만나"입니다.
뭐 버스정거장을 '버정'이라고 줄이는 정도야 이젠 일상적인 언어가 되었다 생각하는데요. 문센(문화센터), 고터(고속버스터미널), 놀터(놀이터), 스골장 (스크린골프 연습장), 생선(생신선물), 생파(생일파티), 문상(문화상품권), 김찌(김치찌개), 아메(아메리카노), 법카(법인카드), 음쓰(음식쓰레기), 일쓰(일반쓰레기), 김냉(김치냉장고), 결기(결혼기념일), 열폭(열등감 폭발), 페메(페이스북 메시지), 일유(일반유치원), 예랑(예비신랑) 등과 같은 단순 줄임말은 그나마 쉽게 유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댐(남대문), 셩장(수영장), 묭실(미용실), 삼실(사무실), 쟈철(지하철), 팸래(패밀리레스토랑), 공뭔(공무원), 대겹(대기업), 뻐카충(혹은 뻐충, 버스카드 충전), 빠충기(배터리 충전기), 횐갑(회원 가입), 유천(유치원), 촘파(초음파), 솩(수학), 설(서울), 윰차(유모차) 등의 경우에는 약간의 머리 굴림이 필요합니다.
요즘에야 드라마 제목 등도 모두 이렇게 줄여 얘기하고, 심지어 뉴스 기사에도 등장할 정도이니, 이 정도는 무덤덤하게 넘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