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13일과 5월 2일 대한민국 정보공개청구 시스템을 통해 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참여연대
육군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 해에 육군에서 실시한 안보교육 횟수만 해도 2203건이며 교육을 받은 학생 수만 약 46만 명에 육박한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8월 현재까지 육군의 안보교육을 받은 학생 수는 19만 명에 이른다. 군은 그동안 자체적인 정책을 통해 꾸준히 학생안보교육을 확대해왔다.
교육 내용 모르는 교육청, 안 알려주는 국방부
문제는 안보교육 MOU를 체결한 교육청마다 관할 지역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안보교육이 실시되고 있는지 파악조차 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앞서 언급한 강동구 A초등학교에서 벌어진 사건은 현재 교육당국의 학생 안보교육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 여실하게 보여주었다.
언론에 따르면, 서울시 교육청은 문제가 발생하고 나서야 뒤늦게 군부대에 안보교육 자료 공유를 요청했다. 그동안 기초적인 안보교육 자료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었던 교육청의 뒤늦은 조치였다.
당시 서울시 교육청은 수도방위사령부의 거부로 문제가 된 영상을 입수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그 이후 서울시 교육청은 안보교육을 평가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는 학생들에 대한 후속조치가 실시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없었다.
학생 안보교육 관리감독에 대한 일선 교육청의 허술함은 비단 서울시 교육청의 문제만이 아니다. 참여연대가 지난 3월과 5월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입수한 자료에 의하면 17개 시·도 교육청 중, 군이 실시하는 학생 안보 교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한 군데도 존재하지 않았다. 교육적 차원에서의 안보교육의 필요성이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안보교육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 교육청도 없었다. 고로, 강동구 A초등학교에서 벌어진 사건은 해당 초등학교 뿐 아니라, 전국 어느 학교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였던 것이다.
교육청과 협력해 안보교육을 실시해온 군이 교육청의 요청에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은폐하는 군의 폐쇄성이 안보교육 사업 과정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 뿐 아니라, 지난 2014년 8월 28일 국방부는 군이 사용하는 나라사랑교육 자료에 대해 교육전문가의 자문이나 검토는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결국 교육청의 무관심과 직무유기 아래 군은 왜곡되고 편향된 교육 자료를 토대로 학생들을 교육해 온 것이다.
민주주의와 인권 기반 교육정책 마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