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길거리에서 오랫동안 서민의 애환과 배고픔을 함께 해왔던 노점상들이 길거리에서 쫓겨나고 있다. 도심의 외관과 경관을 해쳐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격감시키고 청결하지 못한 환경에 노출된 음식들로 인해 국민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비싼 임대료를 내고 건물에 들어온 사업자들 앞에 노점상은 눈엣가시인 것이다. 비싼 임대료를 낼 필요가 없는 노점상들은 비싼 임대료를 내는 가게들보다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의 발걸음을 붙잡고 있고, 불공정함을 느낀 상인들의 불만을 더 이상 정부가 간과하기 힘들게 된 것이다.
이는 대형 백화점과 대형 유통마트 입장에도 마찬가지이다. 1990년대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판매를 했던 대형 유통사들이 몸집이 커짐에 따라 저소득층에게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고, 저소득층의 시장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노점상들이 눈엣가시가 되어버린 것이다.
요즘은 소비자의 인식도 많이 달라져 길거리 상품의 질 역시 높아졌고, 오히려 대형마켓이 주도했던 시장까지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니 노점상인이 신경 쓰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 입장에서도 음성적으로 돌고 있는 일명 자릿세와 세금신고가 제대로 되지 않는 점, 그리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점등 여러 문제 때문에 노점상보다는 대기업 유통사나 건물을 임대한 상인들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게 되었다.
노점상인들을 길거리에서 쫓아내서는 안 된다. 길거리 노점은 오랫동안 대한민국 사회에서 서민들의 삶의 터전이자 서민들의 가난함을 위로해온 하나의 문화였다. 노점상의 강제 철거는 우리 문화의 한 단면을 역사에서 지워버리는 행위와 다름이 없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장터와 노점문화의 형성 시기를 정확히 가늠하기는 힘들지만 각 지방의 특산물, 농, 어물, 공산품들을 타지방과 교류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다. 조선시대의 특성상 먼 곳까지 가기 힘들었던 이들은 가까운 곳에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러 장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이 장터를 통해 먼 곳까지 지역 특산물이 오고 갈 수 있었다.
이 노점 문화가 조선 중기 이후 세금을 모두 쌀로 납부하는 제도가 마련되기 시작하면서 보부상 및 독점 상인들이 생겨 특산물을 중앙국가가 지방관청을 통해 구입하게 되고 이러한 유통구조를 통해 유통구조가 발전하는 동시에 큰 부를 축척한 상인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한마디로 노점상인들 사이에 신분차가 생기게 되었고, 결국 노점상인의 대부분이 가난한 서민층들의 자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도 친일 성향의 이들이 부를 축척하게 되면서 극도의 빈민 계층이 도시로 유입되었고 이들은 생존을 위해 노점 일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해방 이후에는 미군부대 물품이 중요한 품목으로 부상하기 시작하면서 전문적인 노점상이 생겨나기도 했으며, 지금의 청계천 상가나 이태원, 용산전자상가 상인들이 그들의 전신이 되었다.
1990년대에도 이러한 상인 간의 신분 차이가 지속되었다. 급속한 산업 발달로 농어촌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기 시작하면서 생존을 위해 저 자금의 노점상을 선택했고, 직장을 얻기까지 임시방편으로 노점을 시작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사회진출을 위한 준비단계가 되는 긍정적인 역할도 했었지만 이 시대는 최하위 계층의 노점상인들을 탄압하는 시대였다.
올림픽과 국제 대회를 개최하면서 노점상인들에 대한 탄압이 거세졌고 생존을 위해 노점을 할 수밖에 없는 이들만 남겨져 지금까지도 생존을 위해 눈물을 흘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사회적인 탄압의 영향으로 일반 시민들조차 서민층의 경제생활의 근간이 되고 있는 노점문화를 천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의 친일성향의 인물들, 해방 이후의 미군의 물품을 취급했던 상인들, 그리고 독점이 가능했던 보부상들은 현시대의 대형 유통사의 전신이다. 이와 반대로 노점 문화는 평민과 서민층을 생존 가능케 했던 서민 스스로가 만든 안전장치였다.
개구리 올챙이 적 모른다고, 현 중산층은 노점상의 탄압에 무심하다. 대기업 위주의 산업사회에서 밀려 날 경우 생존할 수 있는 안정장치를 스스로 망가뜨리고 있는 것이다.
당신이 정리해고당하는 순간 당신의 삶을 유지시켜 줄 최소한의 경제활동 환경이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다. 노점은 최하층 계급의 생존을 위해 국가와 우리 모두가 지원하고 보호해야 할 영역이지 약탈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 또한, 노점문화를 통해 전파된 부대찌개, 순대국밥, 떡볶이 등 한국의 식품문화도 발전해왔다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