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곽길로 출사신현철 교수의 우리 문화재 탐방
하도겸
신 교수는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해법도 제시했다.
"서울대학교를 비롯해 지방의 거점대학 즉, 부산대학교 등은 연구중심대학으로 전환해 교육중심대학을 졸업하고 더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을 대학원으로 수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들을 제외한 국립대학교는 교육중심대학으로 전환해 대학원을 폐지하는게 대학을 위해서도 좋습니다.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비가 1:2 이상이 되도록 조정하되, 학부 정원을 미국의 연구중심대학의 상위권 수준인 6000~800명 수준에서 결정하는 게 적당할 듯합니다. 사립대학교의 경우 자율적으로 연구중심대학인지 교육중심대학인지를 결정하고, 연구중심대학으로 갈 경우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비율을 1:1 이상이 되도록 하되, 학부 정원이 1만 명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방 중소 규모 사립대의 경우 가능한 대학원을 모두 폐지하도록 유도하는 게 맞습니다."정원 감축에 따른 재정적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정부가 교육중심대학에는 교육관련 비용을, 연구중심대학에는 연구 관련 비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방 중소규모 대학에서 대학원에 진학할 학생들은 가능한 지방의 거점대학 대학원에 진학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래야 그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신 교수는 주장했다.
연구중심대학에 대학원생이 증가하면 연구도 활성화되고 이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예상되는 대학 입학생 감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구중심대학으로 20곳을 지정하고 대학마다 1만 명을 줄인다면, 20만 명이라는 정원 감축 효과가 나타난다.
이런 대학 유형화가 이루어지면 대학은 연구와 교육을 병행해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교육중심 대학이 연구 부담에서 벗어나면 다양한 교육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다.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가 있어 명실상부한 대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몇 년 전 일부 지방대학에는 '어르신'들이 수업도 안 듣고 학사학위를 받는, 이른바 학사 '학위장사'가 대단했다고 한다. 요즘은 그렇게 학위를 받은 분들의 '학구열'을 수용해 일부 대학들이 석박사 '학위장사'를 한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그렇게 석박사학위를 받은 분들이 다시 교수가 되어 우리 학생들의 강단에 설 날도 멀지 않았다. 이미 몇군데 대학에서 그런 교수들이 있다는 제보까지 있다. 우리 정치, 사회, 종교, 교육계까지 정말 안타까울 따름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